인천 서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서구 국가유산정책연구회’ 소속 의원 등이 지난 28일 수원화성을 찾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구의회
인천 서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서구 국가유산정책연구회’ 소속 의원 등이 지난 28일 수원화성을 찾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구의회

인천 서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서구 국가유산정책연구회’와 ‘서구 문화예술정책연구회’가 지난 28일 수원화성박물관과 수원화성문화제를 찾아 우수 사례를 시찰했다.

이날 국가유산연구회는 국가유산의 보존·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문화관광 정책과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했으며 문화예술연구회는 국가유산과 지역축제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모델을 분석해 지역 특화형 정책으로 반영하고자 했다.

의원들은 수원화성박물관을 관람하며 정조대왕의 개혁 정신과 수원화성의 건축적·역사적 가치, 그리고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배경을 살폈다.

이어 열린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행사에는 수천 명의 시민과 관광객이 몰려들어 성대한 분위기를 이뤘으며, 화려한 전통의상과 장엄한 행렬, 다채로운 공연이 어우러져 당시의 장면을 생생히 재현했다.
 

인천 서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서구 문화예술정책연구회’ 소속 의원 등이 지난 28일 수원화성문화제를 찾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구의회
인천 서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서구 문화예술정책연구회’ 소속 의원 등이 지난 28일 수원화성문화제를 찾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구의회

문화예술연구회 소속 의원들은 시민들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익힌 역량과 창의적 성과를 지역축제 현장에서 선보이고 자랑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고 지역 문화예술활동에 더욱 적극 참여할 동기를 부여했다고 평가했다.

국가유산연구회 소속 의원들은 이번 문화제가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주민이 주체가 되고 세대 간 소통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임을 확인했다. 또 지역 상권 활성화와 관광객 유입 등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다.

심우창 국가유산연구회 대표의원은 “수원은 국가유산을 단순한 보존 차원에만 두지 않고, 이를 현대적 문화예술 콘텐츠와 대규모 축제로 발전시켜 지역경제를 견인하고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있다”며 “서구 역시 보유하고 있는 국가유산과 역사 자원을 주민 참여와 결합시켜 축제와 관광정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미연 문화예술연구회 대표의원은 “문화예술 활성화가 주민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사회를 하나로 묶는 중요한 연결고리임을 다시 확인했다”며 “우리 연구단체가 추구하는 참여·체험·학습이 어우러진 서구형 문화예술교육 개발을 위해 끝까지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