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이 지난 20일 강하면 전수리에서 양봉 사육 농가와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품질 화분떡 생산 기술보급 시범사업’ 현장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양평군이 지난 20일 강하면 전수리에서 양봉 사육 농가와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품질 화분떡 생산 기술보급 시범사업’ 현장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사진=양평군청
양평군이 지난 20일 강하면 전수리에서 양봉 사육 농가와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품질 화분떡 생산 기술보급 시범사업’ 현장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사진=양평군청

화분떡은 자연화분, 대두박, 맥주효모, 설탕, 비타민 등을 원료로 10일 이상 숙성해 만드는 꿀벌의 인공 먹이로 애벌레가 성충이 되기까지는 꿀 300mg, 꽃가루 100mg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른 봄철까지 꿀벌들이 저장한 꿀이 넉넉해도 꽃가루가 부족하면 봄에 벌이 잘 증식되지 않아, 양봉 농가는 많은 꿀을 수확하는 강군을 만들고자 인공적으로 제조한 화분떡을 먹여 애벌레가 잘 자랄 수 있는 단백질을 공급하고 여왕벌의 산란은 촉진해 일벌의 수를 늘리는 등의 노력을 해 왔다.

이를 위해 양평군 양봉 농가는 그간 양질의 화분떡 제조를 위해서 경북 영천시 또는 이천 등 타 시·군 시설을 이용했으나, 원거리 운반비 등에 대한 부담과 애로사항으로 올해부터 양봉연구회에 예산을 지원해 화분떡 생산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양봉 농가의 불편을 해소하고 농가의경영비를 절감을 지원할 방침이다.

김규철 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