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내주 방북설을 12일 대통령실이 확인하며 그의 방북이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24년 만에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진행된다면 러시아가 북한의 든든한 ‘뒷배’라는 점을 다시 한번 국제사회에 알리고 싶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의지에 푸틴 대통령이 화답하는 성격이 강하다.
아울러 양국 고위급 교류 모멘텀을 이어 나가겠다는 뜻을 최고지도자들이 몸소 보여주며 협력 심화 의사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과정에서 장기 군사 협력의 토대를 다지는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을지가 관전포인트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기간인 이날 기자들을 만나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이 며칠 안으로 다가왔다고 말했다. 최근 외신 보도 등을 종합할 때 그의 방문은 오는 18∼19일이 될 가능성이 있다. 푸틴 대통령은 2019년 김 위원장의 방러 때도 북한 방문을 요청받았지만 답방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치르는 상황에서도 방북 의사를 밝혔고, 김 위원장의 요청 9개월 만에 실제 방문을 눈앞에 두게 됐다. 방문 자체만으로 ‘러시아도 북한과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 세계에 발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표면적으로 푸틴 대통령의 방북 기간 양측은 지난해 9월 북러정상회담 이후 진행된 분야별 협력 성과를 점검하고 추가 교류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대적으로 국제사회 비난 부담이 적은 경제 협력 이야기가 크게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지난해 북러 정상회담에서 푸틴이 공개적으로 언급한 양국 우주기술 개발 협력 논의도 구체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북한은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 성공 후 올해 추가로 3차례 발사하겠다고 말했으나 상반기에 한 번도 이를 성공하지 못했다.
지난해 북러 정상회담이 우크라이나 전장에 북한의 재래식 무기 제공을 중심으로 한 ‘주고받기식’ 단기 거래에 치중했다면 이번 회담에서는 공동의 정세 인식을 바탕으로 무기 체계 공동 개발 등 군사 협력 초밀착에 합의할 가능성도 있다.
김재득기자
- 지역 개발정보
- 지면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