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갈오거리 주민들이 직접 참여한 ‘리빙랩(생활 실험실)’ 프로그램에서 제안한 의견을 도시재생 사업에 반영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5월부터 2차수 10회에 걸쳐 도시재생 사업 체험단을 운영했으며, 지난 7월 1일에는 ‘원데이 클래스’를 열어 44명의 시민이 참여해 자유롭게 토론하고 제안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기로 했다.
‘원데이 클래스’에서는 ▶스마트전력 모니터링 ▶순환자원회수 로봇 도입 ▶주차안내시스템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교통쉼터 ▶스마트 방범 안전망 등에 대한 토론이 이뤄졌다.
시민의 의견 중 정책에 반영된 사업은 ▶스마트 쓰레기통 확대 설치 ▶순환자원 회수로봇 추가 설치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아트거리 조성 ▶스마트 방범 안전망 확대 설치 등이다. 시는 현재 6개소에 11대가 설치된 ‘스마트 쓰레기통’을 추가로 설치하고, 방범 CCTV 및 조명등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순환자원 회수 로봇은 하반기에 1개소에 2대를 추가 설치하고, 내년에도 1개소에 2대를 더 설치할 예정이다. 이 로봇은 라벨이 제거된 투명 페트병만 선별해 수거하며, 이용자에게 포인트를 적립해 현금으로 돌려준다.
시는 또한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아트 거리’를 조성해 신갈동을 대표하는 명소로 만들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리빙랩’을 통해 나온 좋은 의견들을 정책에 반영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민 참여 프로그램을 마련해 시와 주민이 함께하는 ‘신갈오거리 스마트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재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