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마약류 폐기 업무를 전산화한 ‘마약류 폐기 지원시스템’을 개발해 운용 중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11일 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 초 보건소 마약류 처리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시스템을 전국에서 처음으로 개발했다.
시가 개발한 시스템에선 보건소 담당자가 접수된 폐기 마약류의 제품명만 검색해도 자동으로 유효기간과 제조 번호 등의 데이터가 입력돼 발생 우려가 있던 오타 발생 가능성도 원천 차단했다. 또 폐기 내용을 등록하면 병원에 보낼 통보서와 내부 결제문서가 자동으로 생성돼 업무 절차가 간편해진 것은 물론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NIMS) 정보 조회와 폐기 결과 연계까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업소와 마약 종류, 처리 방법 등에 따른 폐기 마약류 통계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지역에 유통된 마약류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는 병원이나 약국 등이 전신 마취제인 프로포폴이나 항불안제인 자낙스 등 마약류를 구매·사용·폐기하려면 관할 보건소에 반드시 신고하도록 하고 있으며, 보건소는 병원 등에서 유통기한 경과나 파손으로 마약류 폐기 신고가 들어오면 관리대장에 추가 후 해당 병원에 폐기 사실 통보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도 현황을 등록한다.
이때 마약류 취급자의 식별번호와 폐기 사유, 폐기 방법, 품목 코드, 유통 단위 등 복잡한 정보를 4회에 걸쳐 반복 작성해야 해 번거롭고 수기 처리 과정에서 오타라도 나오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업무정지 등의 행정처분이 내려져 담당자의 부담이 컸는데, 이같은 어려움을 완전히 해소하게 됐다.
특히 이번 마약류 폐기 지원시스템이 디지털 행정의 수범 사례로 인정돼 타 지자체에 보급되면 사용료 등 세외 수입도 거둘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시 관계자는 "마약류 폐기 신청이 한 주에 평균 50건 접수되는 만큼 시스템을 활용해 업무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단순 반복 업무에 자동화 시스템을 접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해 정확하고 신속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재 기자


AI기자 요약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