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특례시를 목전에 둔 화성시가 ‘시민의 뜻’ 청취 등 구청 설치를 위한 행정력 동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5일 화성시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7일까지 1권역부터 4권역까지 지역별로 나눠 일반구 구획안 권역별 시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시가 추진하는 구청 설치 계획은 1권역(향남,남양, 우정, 장안, 송산, 마도, 서신, 양감, 새솔, 팔탄), 2권역(봉담, 비봉, 매송, 정남, 기배), 3권역(병점1·2, 반월, 진안, 화산), 4권역(동탄1~9) 등 총 4권역으로 나뉜다.
시는 지난달 24일 시청 대강당에서 1권역을 시작으로, 29일 협성대학교에서 2권역, 3권역은 이달 1일 근로자종합복지센터, 4권역은 7일 다원이음터 등 4회에 걸쳐 권역별로 시민설명회를 진행했다.
설명회를 통해 시는 일반구 설치의 필요성으로 ▶인구의 비약적인 성장세(지난 6월 기준 101만5천960명) ▶넓은 면적에 따른 시민편의 요구 증가(서울시 면적 1.4배) ▶다양하고 급격한 행정수요 증대 ▶기존 행정체제로 인한 비효율성 ▶일반구 설치에 대한 시민 기대감 증폭 등을 설명했다. 또 시가 일반구 설치를 위해 실태조사서 제출과 타당성 검토 및 승인건의 등 과정을 거쳤으며, 남은 절차로는 검토 및 승인, 구청 개청 준비 등이 남았다고 설명했다.
시민의견 청취에서 시민들은 대부분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2권역에서는 별다른 의견 제시는 없었으나 설명회 내용을 SNS에 공유하는 등 신설을 희망하는 의견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다만, 송산·남양·매송·비봉은 전통적으로 한 생활권이라며, 남양반도 생활권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의견과 정남면 일부 주민들의 3권역으로 구획을 정해달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3권역도 전반적으로 빠른 구청 추진을 바라는 추세로, 병점권 교통 개선과 도심재생 및 지역활성화 등 지역 발전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으나, 구 획정안과 선거구의 불일치로 지역주민 간 연대관계 등 불편함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4권역도 긍정적 분위기 속에 구청의 신속 추진을 원하는 여론이 다수 형성된 가운데, 인구수가 타권역에 비해 많다는 점에서 임시청사 체제로 행정수요 수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구청 설치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가장 큰 구역은 1권역으로, 넓은 면적에 대한 구획불만과 권역 내 생활권 불일치 등 이유로 다수가 불만의 목소리를 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청의 기능 유지 또는 출장소 설치 등 구청 설치로 발생할 수 있는 시민불편사항을 방지할 방침"이라며 "대도시 행정체계를 만들어 102만 화성시민들에게 더 특별한 혜택이 될 수 있도록 ‘일반구 설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신창균·이상문기자


AI기자 요약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