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진선 양평군수가 ‘환경교육도시’ 지정과 관련해 지난 2일 기자회견을 갖고 "양평형 환경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주민들과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양평군은 지난 1일 환경부 공모 사업인 ‘환경교육도시’에 공식 지정됐다. 이는 민선8기 후반기 중점 사업 계획인 ‘2023-2030 매력양평 만들기’ 환경 분야 핵심 과제로 계획 수립 1년 만에 목표를 달성하는 쾌거를 일궈낸 것이다.
환경교육도시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역 기반의 환경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년 환경부가 환경교육 추진 기반·성과·계획이 우수한 지방자치단체를 지정하는 제도다. 3년마다 재지정 평가를 통해 연장 여부가 결정된다.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되면 지정기간 3년 동안 전문가 상담을 비롯해 환경교육 도시 간 상호 협력 기회를 환경부로부터 제공받는다.
올해는 지역 중심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환경교육 기반과 성과 및 계획 등에 대한 서류 심사와 현장 평가를 거쳐 ▶충청북도와 충청남도 광역지자체 2곳과 ▶양평군을 비롯한 은평구, 서대문구, 김해시 등 기초지자체 4곳을 합쳐 총 6곳이 지정됐다. 지정기간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27년 12월 31일까지다.
앞서 양평군은 환경교육도시 지정을 위해 ‘양평군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양평군 교육지원청, 국립환경과학원과의 업무 협약 체결, 환경교육센터 지정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지난 7월 9일 전진선 군수는 양평군을 방문한 평가위원 현장심사에서 양평 환경교육 계획에 대해 직접 발표하며 환경교육도시에 대한 강한 정책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군은 이번 결과에 따라 환경교육을 더욱 체계적으로 확대해 주민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환경보호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생태관광 및 체험 프로그램을 강화해 주민과 관광객 모두가 환경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전진선 군수는 "이번 환경교육도시 지정은 그동안의 양평군 환경 보전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다"며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쾌적하고 지속가능한 양평군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전했다.
김규철기자


AI기자 요약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