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혼자 사는 제가 혼인하는 두 분에게 혼인생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부당한 것인지 고백하고자 합니다. 그래도 두 분께 무언가 도움이 되는 말을 하기 위해 남녀 간 사랑 노래에서 답을 찾고자 했으나, 대부분의 사랑 노래에는 이별과 슬픔, 아픔 이야기가 담겨 있더군요. 그러던 중 조영남 씨의 ‘지금’이라는 노래가 마음에 마음 깊이 와닿았습니다.
"지금 우린 그 옛날의 우리가 아닌 걸. 진정 사랑했는데 우리는 왜 사랑은 왜 변해만 가는지."
그런데 놀랐던 것은, 이별을 앞둔 아픈 마음을 이야기하는데 노래인데, 어째서 그토록 많은 사람이 이 노래를 들으며 깊은 감동을 느끼는가 였습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무얼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사실 생각해 보면 사랑에는 성공보다는 실패, 이별, 상처가 훨씬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사실 저 역시도 남녀 간의 사랑에는 성공하지 못한 사람이겠지요. 그러나 그 많은 사람이 아픈 사랑을 노래하고, 그러한 노래를 듣고 공감하는 이유는, 그만큼 성공한 사랑이 흔하지 않고, 그만큼 사랑이 귀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렇기에 우리가 살아오면서 경험한 모든 사랑이 어떤 면에서는 모두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게 되고 오늘을 새롭게 살게 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그만큼 우리는 수많은 사랑의 사연을 간직하고 살면서, 아름다운 사랑을 늘 꿈꿉니다. 그렇기에 오늘 우리는 사랑의 결실로 혼인에 이르는 두 남녀를 축하하고 축복하기 위해 이렇게 모여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초대장에 이런 문구가 있더군요. "어떤 이유로 만나 나와 사랑을 하고 어떤 이유로 내게 와 함께 있어준 당신 이 세상이 변한다 해도 나의 사랑 그대와 영원히."
이 문구를 보며, 과연 어떤 사랑이 성공한 사랑일까 하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아무런 문제없이 지금 마음 그대로 끝까지 잘 간직하는 것일까요? 얼마 전 제가 사는 신학교에서 강론 중에 어떤 신부님께서 혼배미사 강론 때 종종 하는 말씀을 나누신 적이 있습니다. "사랑은 저절로 될 때도 있지만 어느 순간 애써서 사랑해야 할 때가 올 겁니다." 신학생들도 예수님을 따르는 길에서 사랑이 저절로 되던 때가 지나 애써 사랑할 때가 올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사실 신학생만이 아닌 사제들도 사랑이 저절로 되던 때가 지나 애써 사랑할 때가 오기 마련입니다.
그보다 저는 모든 사랑에 담긴 나약함과 진실함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인간은 상처 입기 쉬운 나약한 존재라는 사실, 그리고 사랑도 그 나약함을 관통하는 것임을 깨달아 가는 것이 결혼생활이 아닐까 합니다. 신학생도, 사제 생활도 그러하듯 말이죠.
그렇지만 나약함이 반드시 거짓이나 그릇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약하지만 진실하기에, 나약함을 안고 계속해서 나아가기에 멋지고 아름다운 것이 사랑입니다. 약속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권고 ‘사랑의 기쁨’의 일부를 들어봅시다.
"우리 모두는 빛과 그림자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존재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 저는 상대방의 사랑의 진가를 알려면 그 사랑이 완벽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상대방은 자신의 능력껏 최선을 다하여 나를 사랑합니다. 그러나 사랑이 완벽하지 않다고 해서 그 사랑이 거짓이라거나 참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한계가 있고 현세적이라고 하여도 그 사랑은 참된 것입니다. [...] 사랑은 불완전함을 지니고 용서하며 함께 살아가는 것입니다."
이 말씀과 함께 두 분께 당부드리고자 합니다. 혼인 생활에 임하며, 가장 먼저 인간이 얼마나 상처 입기 쉬운 존재인지 아시기 바랍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얼마나 서로의 돌봄과 보살핌, 관대함과 공감이 필요한 존재인지 아시기 바랍니다. 사랑이 얼마나 우리의 나약함 깊은 곳까지 관통하는지 아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그 사랑이 얼마나 아름답고 숭고한 것인지 아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감사하기 바랍니다. 서로의 존재에 대해. 나약함에도 불구하고 하루를 살아갈 수 있음에. 같이 가는 존재가 있음에. 그리고 꽃다발처럼 아름다운 꽃들이 여러분을 둘러싸고 축복하고 응원하고 있음에.
한민택 수원 가톨릭대학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