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지상철도 3곳 국토부에 신청
서울·부산 등 5개 광역단체 경쟁
국토부, 사업타당성·비용 등 검토

363643125_2386045_1421
경인전철 신형 전동차. 사진=연합뉴스 자료

철도지하화 선정을 두고 경기도를 포함한 5개 광역자치단체가 경합을 벌일 전망이다.

특히나 경기지역에서 가장 많은 철도 노선을 신청함에 따라 도가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사업에서 승자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제안서 1차 접수에서 경기도를 비롯한 서울·인천·부산·대전 등에서 사업을 제안했다.

‘철도지하화 통합개발’은 철도부지를 출자받은 사업시행자가 채권발행으로 철도지하화 사업을 시행하고, 지하화하면서 생기는 철도부지, 주변 부지를 개발해 발생하는 수입으로 지하화 사업비를 충당하는 방식이다.

도는 지상철도로 운행 중인 9곳 중 안산선·경인선·경부선 등 3곳을 선정했다.

안산역을 시작으로 한대앞역까지 5.1㎞에 달하는 구간에 사업비·개발이익으로 1조7천억 원을 책정했다.

또 역곡역에서 송내역까지 이어지는 경인선 6.6㎞ 구간에는 2조 원, 석수역에서 당정역까지 경부선 12.4㎞ 구간에는 14조 원을 각각 사업비와 개발이익으로 산정했다.

국토부는 사업 타당성과 비용의 충당 가능성, 현실화 유무 등을 주로 검토할 전망이다.

이외에도 수도권 지역에서 대거 사업을 접수했다.

인천시도 경인선 인천역~부개역 구간에 대한 지하화를 추진 중이다.

해당 구간은 14㎞에 달하며 철도 지하화에 3조4천억 원, 상부 부지 개발에 3조2천억 원 등 총사업비는 6조6천억 원이다.

서울시는 서울 서남권에서 동북권까지 도심을 잇는 길이 약 68㎞의 지상철도 전 구간 지하화한다.

구체적인 지하화 구간은 경부선 일대 34.7㎞, 경원선 일대 32.9㎞ 등 총 67.6㎞로 서울역 등 총 39개 역사를 포함하고 있다.

지하화 사업비는 총 25조6천억 원이며, 상부 공간 전체 개발이익은 3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부산시는 경부선 구포~가야 차량기지 8.9km와 부산진역~부산역 2.8km 등 총 11.7km 구간을 지하화하는 계획안을 제출했다. 이들 사업에 총 3조6천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대전시는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대전조차장과 대전역 등 ‘점단위 개발’ 중심으로 지하화를 구상하고 있다.

국토부는 전문가가 참여하는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서면·발표·현장 평가를 거쳐 올해 말께 1차 대상 사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지은기자

관련기사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즉시제보 : joongboo.com/jebo
▷카카오톡 : 'jbjebo'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사회부) : 031-230-2330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에서도 중부일보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