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출신 정치 이론가 한나 아렌트는 ‘악의 평범성’이란 말을 남겼다. 악이 특별히 악한 동기나 사악함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닌, 일상적인 무사유와 책임회피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무사유와 책임회피로 인해 발생하는 범죄나 악한 일은 우리 주위에서 비일비재하며 그 결과는 매우 심각하다.
무사유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특히 종교에서 발생하기 쉽다. 종교가 사유와 멀어질 때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는 존재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 사유하지 않는 종교는 사회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사람들을 선동에 휘말리게 하며, 사회에 극심한 혼란을 가져온다. 우리는 이를 전 세계적으로, 특히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목격하고 있다.
이러한 비판 앞에 천주교도 예외일 수는 없다. 천주교 신자들은 종종 ‘비지성적’이란 비판을 받는다. 성당에 열심히 다니는 사람들도 막상 성경이나 교리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잘 모른다고 답한다. ‘신앙 따로 삶 따로’도 문제지만, 신앙에 대해 숙고하거나 세상일을 고민하지 않는 신앙도 큰 문제다. 이러한 비지성적 신앙은 언제든 정치적 선동에 휩쓸리고 그릇된 신심이나 유사종교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실제로 어떤 신자들은 교회가 정치에 왜 관여하느냐고 항의하기도 한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는 주교님, 신부님들 때문에 수십 년 된 신앙생활을 접고 이제 성당에 안 나가겠다고 선언하는 사람도 있다. 심지어는 교황이나 교구장주교 혹은 교회의 가르침에 정면으로 반대되는 태도를 취하며 정치 세력화하는 경우도 있다.
지금 한국 사회는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해 있다. 여기에 몇몇 종교 단체까지 가세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종교는 정신을 가다듬고 사회정치적 사안에 대해 종교의 고유한 가르침에 입각하여 합리적이고 냉철하게 숙고하고 행동하도록 신도들을 계몽할 필요가 있다.
보통 사람들은 종교를 이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과는 반대로 종교는 근본적으로 합리성을 추구한다. 종교적 합리성은 이성에 반대하는 것이 아닌 이성을 보다 높은 차원으로 고양시키는 힘을 지닌다. 사람의 생각이 여러 이해관계에 얽매이기 쉽고 정치나 경제 논리에 함몰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종교는 생각을 오류로부터 정화시킬 중차대한 책무를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
가톨릭교회는 이성의 중요성을 늘 강조해 왔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신앙과 이성이 "진리를 바라보려고 날아오르는 두 날개"와 같다고 하였다.(회칙 ‘신앙과 이성’ 1항) 신앙 없는 이성은 사유의 최고 경지까지 이를 수 없고, 이성 없는 신앙은 맹목이나 신화에 빠질 위험이 있다. 신앙과 이성이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발전할 때 인류에 큰 유익을 선사한다.
오늘의 탄핵 정국은 종교에 큰 도전인 동시에 기회가 된다. 그동안 종교가 비합리적인 것으로 치부되어 왔다면, 상식과 합리성을 잃고 헤매는 한국사회에 종교가 나서서 경종을 울리며 예언자적인 목소리를 내야 할 때다. 선동 정치, 혐오 정치에 가담하기보다 이에 대항하여 신도들이, 그리고 국민들이 올바르게 생각하고 판단하며, 함께 힘과 마음을 모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올바른 양심과 정신을 일깨워 주어야 한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탄핵 정국에 대한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정치 성향이 아닌 교회의 신념과 가르침에 근거한 것이었고, 한국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사회에서 종교에게 맡겨진 책무에 대한 의식의 발로였다. 물론 그 입장에 반대하는 신자도 있고, 그로 인해 등을 돌리고 떠난 신자도 많다. 그들을 생각하면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지 모른다. 그러나 그런 신자를 잡으려다 본질을 잃을 위험이 있다.
모든 종교는 사회 안에 자리하고 있다. 더불어 사는 사람들이 겪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사안과 무관히 사는 것이 아니다. 특히 지금과 같은 혼란의 시기에, 저마다의 교리와 경전에 따라 시대의 흐름을 파악하고 신도들이 거짓과 선동에 흔들리지 않고 이성적으로 냉철하게 파악하도록 식별력을 키워주고 생각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참되고 바르고 정의로운 길, 서로 화합하고 연대하여 보다 인간다운 세상을 위해 투신하는 길을 알려주어야 한다.
한민택 수원가톨릭대 교수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