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를 일으킨 조종사가 속한 부대 전대장 및 대대장 등 지휘관들이 보직해임됐다.
공군은 11일 문자 공지를 통해 "오폭 사고 조사 과정에서 직무 유기 등 법령준수의무 위반 사실이 식별된 전대장(대령), 대대장(중령)을 보직해임했다"고 밝혔다.
앞서 공군은 전날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전투기 오폭 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발표에서 공군은 사고 부대 지휘관인 전대장이 상부 지시와 연계해 전반적인 지휘 관리 업무를 수행해야 했지만, 훈련 계획 및 실무장 사격 계획서 등에 대한 검토가 미흡했을뿐더러 안전 관련 사항에 대해 대대장에게 위임했던 사실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또 대대장 역시 실무장 연합·합동 화력훈련임을 감안, 조종사들의 비행 준비 상태를 적극 확인·감독해야 했음에도 일반적인 안전사항만을 강조했을 뿐 ▶비행기록장치 확인 등을 통한 사격편조 문제점 파악 ▶표적 브리핑 확인 절차 ▶세부 비행 준비상태 확인·감독 등 세밀한 지휘·감독이 미흡했던 것으로 파악했다.
더불어 공군은 사고를 일으킨 조종사 2명에 대해서도 공중근무자 자격 심의를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감사원은 공군본부 정기감사를 앞두고 이번 오폭 사고 및 항공 안전 분야에 중점을 두고 감사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6일 포천에서 발생한 전투기 오폭 사고 이후 이날까지 확인된 민간인 부상자는 24명, 재산 피해는 166건으로 집계됐다.
박종현기자
관련기사
- 공군,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앞서 조종사 좌표 확인 기회 3차례 놓쳐" 포천에서 발생한 전투기 오폭 사고를 일으킨 조종사가 최소 3차례 이상의 표적 확인 기회가 있었음에도 절차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국방부와 공군은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투기 오폭 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이번 전투기 오폭 사고는 지난 6월 오전 10시부터 포천 승진 사격장에서 진행된 화력훈련 중 발생했다. 공군 전투기 13대가 5개 편조를 구성해 참가했는데, 사고를 낸 전투기 2대는 이 중 세 번째로 사격을 실시했다.오전 10시 4분께 사고 발생 이후 조종사들은 상호 확인 과정에서 좌표
- [종합] ‘공군 오폭’ 포천 특별재난지역 선포… 물적 피해·주민 회복 지원한다 정부가 공군 전투기 오폭 사고로 피해를 입은 포천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다.이번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인해 피해 지역은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에 따라 구호와 복구 비용을 지원받게 된다.김동연 경기도지사는 9일 포천 피해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김 지사는 "이번 사고는 명백하게 국가에 귀책 사유가 있기 때문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당연한 것"이라며 "포천 일대는 지난 70여 년 국가 안보를 위해 일방적인 희생을 감내해 온 지역인 만큼, 이번 피해 복구와 진상규명, 주민들의 조속한 일상회복을 위해 국가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