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가정의 질서와 행복한 부부관계에 대해 독자 여러분들과 나눈 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자녀와의 관계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합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부부관계가 좋아도 자녀들과의 관계가 깨져 있다면 완전한 행복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하면 자녀들과 행복한 관계를 누릴 수 있을까요? 오늘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행복을 누릴 수 있는 비결에 대해 독자 여러분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첫째, 무조건적인 사랑을 주어야 합니다.

부모들은 대놓고는 아니지만 은연중에 조건적인 사랑을 할 때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부모들도 그들의 부모에게서 부족한 사랑을 받았거나 조건적인 사랑을 받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인데요. 자녀들이 좋은 성적을 받았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자녀를 대하는 태도에 대해 우리 부모들은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저도 부족하긴 하지만 두 딸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주기 위해서 먼저 행위가 아닌 자녀들의 존재 자체만으로도 귀하다는 생각을 늘 마음에 새기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두 딸에게 평소 살펴본 각자가 갖고 있는 서로 다른 장점을 구체적으로 칭찬하면서 자녀들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애를 쓰고 있습니다.

둘째, 훈계를 게을리 해서는 안됩니다.

그런데 자녀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위해서 무조건적인 사랑을 준다는 것이 훈계를 아예 저버리라는 의미는 절대 아닙니다. 자녀들에게 평소 충분한 사랑을 주는 것과 함께 자녀들이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명확히 지적하고 충고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저도 허용적인 성격이라 자녀 훈계를 회피하는 경우가 많아 늘 고민이 되는데요. 이럴 때 단호한 성격의 아내 도움을 받는 등 부부가 원팀이 되어 서로 보완하며 자녀를 훈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훈계를 한 번 하기 위해서는 사랑을 세 번 정도 해야 하는 것처럼 충분한 사랑 위에서 훈계를 할 때 효과가 있다는 것입니다. 사랑 없는 훈계는 자녀와의 관계를 깨뜨기리만 한다는 점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부모들은 말이 아닌 삶으로 자녀들을 훈계해야 그 훈계에 힘이 실리게 됩니다. 말 따로 삶 따로인 이중기준으로 살아가는 부모의 훈계에 자녀들은 마음을 열기가 힘들다는 것입니다.

셋째, 필요를 채워주어야 합니다.

부모들은 흔히 자녀들의 필요를 살피기 전에 자신의 뜻대로 자녀들의 필요를 섣부르게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녀들의 의사는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필요를 채워주고는 자녀들이 느끼는 감정과 상관없이 스스로 만족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죠. 그러나 자녀들이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것은 부모들이 생각한 것이랑 다른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그러니 자녀들의 필요를 채워주기 위해서 우선 자녀들과의 소통을 통해 자녀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 필수입니다.

자녀들과의 소통을 위해서 자녀들과 일일 데이트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 때 자녀들이 여러 명인 경우 자녀 한 명씩 개별적으로 데이트 하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아버지와 자녀 단 둘이서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서 자녀들의 고민을 들어줄 때 자녀들은 그제서야 비로소 마음을 열고 자신이 필요한 것을 솔직하게 나누게 될 것입니다.

사실 초등학교 때부터 학원을 오가며 성적 스트레스가 많은 우리 자녀들과 행복한 관계를 맺어 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또 우리 아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세상은 부모들이 성장했던 환경과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자녀들과의 소통에 장벽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자녀들에게 조건없이 넘치는 사랑을 주어 신뢰를 회복할 때 부모들의 훈계에 자녀들은 마음을 열게 될 것이고, 또 자녀들과의 소통을 통해 자녀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읽어주고 채워줄 때 자녀들과의 관계는 행복의 열매를 맺게 될 것입니다.

오늘 밤 자녀들이 잠자리에 들어가기 전에 잠시 자녀들 머리에 손을 얹고 축복기도를 하는 것부터 시작하면 어떨까요? 이렇게 사랑, 훈육, 채움이라는 부모의 역할 기쁨으로 감당하시면서 자녀들과 행복한 관계를 만들어가는 지혜로운 부모가 되시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진영탁 변호사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즉시제보 : joongboo.com/jebo
▷카카오톡 : 'jbjebo'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사회부) : 031-230-2330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에서도 중부일보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