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여름은 이례적으로 이른 폭염과 집중호우로 시작되었다. 6월부터 전국 곳곳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졌고, 지역별로 기록적인 고온 현상이 관측되었다. 기상청은 올 7월과 8월에 더욱 강력한 폭염이 찾아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날씨 변화가 아니다.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명한 증거이고, 기후위기의 현실이 우리 곁까지 다가왔음을 경고하는 것이며, 이제 더는 늦출 수 없는 탄소중립 실천의 시계가 우리 곁에 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난 6월 25일, 국가인권위원회는 정부에 대해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상향하라"고 권고했다. 이제 탄소중립은 더 이상 환경만의 문제가 아니다. 기후위기는 특히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에게 더 큰 피해를 주며, 생명권·건강권 등 기본적인 인권과 직결된다. 따라서 온실가스 감축은 인권의 관점에서도 반드시 달성해야 할 국가적 과제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실천을 시작해야 할까? 지금 이 순간 필요한 것은 ‘에너지 사용습관의 전환’이다. 정부는 석탄화력 축소, 재생에너지 확산, 원전 확대 등 공급 측면의 에너지전환 로드맵은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수요관리와 에너지 절약에 대해서는 뚜렷한 목표나 실행 전략이 부족하다.
2024년 본인은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적 기반으로서 에너지 사용습관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 그 필요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 더 나아가 생존의 전제 조건이 되었다.
실제로 최근과 같은 폭염은 냉방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는 전력 수요 증가, 발전소 가동 확대, 온실가스 배출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해법이다.
다가오는 8월 22일은 ‘에너지의 날’이다. 매년 5분 동안 전국의 불을 끄는 소등 캠페인이 펼쳐지지만, 이제는 상징을 넘어 일상적인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다. 단발적인 참여를 넘어, 지역 단위에서 지속 가능한 절약 활동이 정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는 실천 프로그램과 거버넌스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
또한 절약 실천의 효과를 정량화하고 시민들에게 환원하는 제도의 강화도 필요하다. 가정이나 건물 단위의 에너지 절약 실천을 탄소 감축량이나 에너지포인트로 환산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지금 이 순간 우리의 에너지 절약이 단지 비용을 줄이는 것을 넘어, 기후위기 대응과 미래세대의 생존을 위한 행동임을 인식해야 한다. 탄소중립이라는 거대한 목표는 결국 일상 속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 우리가 하루에 절약하는 전기 한 줄기가, 미래의 폭염을 줄이는 씨앗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50 탄소중립을 향한 여정은 아직 멀다. 국가가 감축목표를 높이겠다고 발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절약 실천이 그 감축의 실질적 내용을 채워나가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2025년의 폭염은 우리에게 다시 묻는다. "당신은 얼마나 절약하고 있는가?" 그 대답이, 미래의 기후를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오은석 안산녹색환경지원센터 부장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