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된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초청으로 오는 24∼26일 미국을 방문한다. 이 대통령이 지난 6월4일 취임한 지 82일 만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2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25일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이번 방미에는 김혜경 여사도 동행한다. ‘공식실무방문’으로 진행되는 방미인 만큼 공식 환영식은 생략된다.
강 대변인은 “두 정상은 변화하는 국제안보 및 경제에 대응해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굳건한 한미연합방어태세를 강화하는 가운데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라며 “두 정상은 이번에 타결된 관세 협상을 바탕으로 반도체·배터리·조선업 등 경제 협력과 첨단기술·핵심광물 등 경제안보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대변인은 재계 총수나 경제단체 등의 동핵 여부에 대해선 “경제 사절단과 함께 방문할 의사는 충분히 있다”면서도 “아직 발표할 단계가 아니다”고 했다.
‘한미 정상이 골프 회동도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엔 “현재 정상회담과 업무오찬 말고는 다른 일정은 정해진 바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강 대변인은 한국 조선업체의 미국 진출과 관련해 현지 산업현장을 방문하는 일정이 잡힐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충분히 가능한 일정”이라고 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방미길에 일본 방문 가능성에는 “일본과 관련한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고,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관세 협상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안보 의제와 관련해선 주한미군의 규모 및 역할 변화, 한국군의 역할 확대, 한국의 국방비 증액,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
앞서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달 30일 무역 협상 과정에서 한국의 국방비 지출을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2.6%에서 3.8%까지 확대 방안을 요구하려 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지난달 말 타결된 한미 관세협상의 세부 내용인 추가 투자액 규모와 미묘한 온도차를 보였던 쌀과 소고기 등 농산물 및 디지털 분야 추가 개방 여부도 이번 정상회담의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재득기자/
- 지역 개발정보
- 지면보기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