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의 임금체불 등 문제를 지적하며 노동쟁의 조정 절차를 밟았던 평택시 최대 시내버스 운수회사의 노동조합이 파업 예정일을 하루 앞두고 사측과 극적 타결했다.
27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이하 노조)은 ‘노사합의 공고문’을 통해 “사측에 제시한 노조 측 요구안이 전면 수용되며 노사합의서가 체결, 조정이 취하됐다”고 밝혔다.
노조 측은 공고문을 통해 “체불금액은 향후 순차적으로 지급될 예정”이라며 “사측의 체불방지대책 역시 수차례 확인했고, 향후 체불이 재발하면 지연이자도 지급하게 했다”고 말했다.
이어 “후생복지의 이행 담보와 해외연수 실시에 대한 합의도 받았다”며 “민영제 노선에 대해 공공관리제 임금협정서를 적용받도록 해, 준공영제 인상을 적용받게 됐다”고 덧붙였다.
A운수 관계자는 “급여일을 기존 15일에서 25일로 늦추고, 급여체계를 일부 변경하는 등 노조와 합의를 통해 지급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앞서 노조는 평택 지역의 시내버스 운수사업체 A운수에 대한 35억 원 규모의 임금체불 등에 대한 의혹을 문제 삼으며 대책 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노조는 지난 6일 A운수와의 협의과정에서 사측이 제시한 지급계획안에 명시된 금액이 채무액보다 10여억원 가량 적고, 자금 마련 방안 역시 요원치 않다는 이유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바 있다. 이후 노조는 고용노동부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해 파업 절차를 밟았다.
특히 27일은 노조 측이 고용노동부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한 데 따른 제2차 조정회의가 개최될 예정이었다.
노조는 2차 조정회의가 결렬될 경우, 다음날인 28일부터 노조 측의 전면 파업을 벌일 계획이었다. 다만 파업 전날 노사 합의가 이뤄지며 파업 등 극적 투쟁까지 이어지진 않았다.
박종현 기자
관련기사
- 합의점 못 찾았다… 파업 절차 돌입한 평택 A버스회사 노조 평택시 최대의 시내버스 운수회사의 노동조합이 임금체불 등의 문제에 대해 사측의 계획안이 제시되지 않았다며 파업 절차에 돌입하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노조는 이달 말까지 사측과의 노동쟁의 조정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파업에 들어간다는 입장이다.12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은 고용노동부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했다.조정 신청 이후 15일 동안 조정이 진행된다. 이 기간 동안 해당 업체인 평택 A운수회사는 고용노동부의 직권조사를 받아야 하며, 조정 기간 내에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노조
- '임금체불' 평택 버스회사 노사교섭 결렬 위기… 파업 이어질까 평택시 최대 규모의 시내버스 운수회사에서의 임금체불 등(중부일보 7월 31일자 5면 보도)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노조가 파업을 예고, 시민의 불편이 우려된다.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사 단체교섭이 지난 1일 시작됐으나, 노조가 사측의 대금 지급계획이 구체적이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교섭이 결렬될 위기에 놓였다.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은 7일 내부 회의를 통해 지난 6일 A사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채무내역 및 지급방안을 검토한 결과, 수용할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오는 11일까지 수정안을 제출할 것을 사측에 요구했다.A운수회사는 조합원
- '버스는 달리지만 임금은 멈췄다'… 평택 최대 버스업체 수십억대 체불 논란 평택 지역의 최대 버스운수업체가 노동자들에게 수십억 원 규모의 임금을 주지 않아 논란을 빚고 있다.노동자들은 오는 8월 1일 사측과 단체 교섭을 진행할 예정이나, 합의를 이루지 못할 시 전면 파업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30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은 평택 시내버스 운수사업체인 A운수에 대한 35억 원 규모의 임금 체불 등에 대한 의혹을 문제 삼으며 대책 마련을 촉구 중이다.A운수가 수년간 노조원 270명의 2분기 정기상여금인 12억5천만 원과 10억 원의 퇴직금 지급을 미루고 있으며, 연말정산 환급금·조합비·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