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미국의 우리 국민 구금사태에 대해 “미국 경제에 대한 자해 행위”라고 진단했다. 이어 다음달 미국 출장에서 이와 관련해 미 주지사를 비롯한 상원의원에게 직언하겠다고 했다.
김 지사는 지난 12일 수원에서 이동 중인 달달버스(달리는 곳마다 달라진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구금 행위는) 명백하게 미국이 잘못했다. 어떤 연유와 배경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불합리한 절차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에 갈 때마다 취업 비자 확대 얘기를 했었고 (미국) 여러 주지사로부터 협조 요청도 받았다. 윤석열 정부 때 중앙 정부에서 이 문제 빨리 해결해야 된다고 얘기를 했다”며 “결국은 이런 문제가 생겨 안타깝다. 그나마 일단 자진 귀국식으로 빨리 해결하게 된 것은 다행이긴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안 될 거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이제 앞으로가 중요하다. 여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작게는 그분들 다시 미국에 재입국이나 또는 미국에서 일하는 데 지장 없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할 것이고 크게는 제도적으로 취업 비자 확대라든지 이제 이런 문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된다”고 제언했다.
다음달 미국 출장이 예정돼 있는 김 지사는 조지아 주지사 등과 만나 강력히 문제제기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미국 출장 중에) 트럼프 행정부에서 상당히 영향력 있는 주지사와 상원의원 등을 만날 가능성이 높은데 (이들에게) 이 문제를 강력하게 제기를 하려고 한다”며 “이게 결국 자기 발등 찍는 일이 될 거다. 그리고 (한미) 관계에 있어서 이런 일로 손상을 입거나 지장을 줘서는 안 되겠다는 식으로 강하게 얘기를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미국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가 체포돼 일주일간 구금됐던 우리 국민 316명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지난 4일 조지아주 건설 현장에서 체포·구금된 지 8일 만에 고국으로 돌아오게 됐다.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