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소비쿠폰 지급이 소비진작 효과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송석준(이천)의원은 9개 카드사(KB국민·우리·NH 농협·롯데·비씨·삼성·신한·하나·현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1 차 소비쿠폰이 지급되기 전 주부터 한 달 동안(7월 3주~8월 3주) 카드사의 매출액은 소비쿠폰의 지급 후 2주간(7월 4~5주)만 반짝 매출이 증가되고, 이후 3주간(8월 1~3주) 매출액은 지속적 하락을 면치 못했다고 밝혔다.

소비쿠폰 지급 한 달간(7월 4주~8 월 4주) 총 4조209억원이 사용됐다. 대중음식점이 1조6천166억원(40.2%)으로 가장 많았고, 마트·식료품 6천261억원(15.6%), 편의점 3천660억원(9.1%), 병원·약국 2천899억원(7.2%), 의류·잡화 2천180억원(5.4%), 학원 1천775억원(4.4%), 여가·레저 1천37억원(2.6%), 주유 743억원(1.8%), 기타 5천488억원(13.7%) 등이었다.

1차 소비쿠폰이 지급되기 시작한 7월 4주와 5주는 소비쿠폰이 지급되기 전 주인 7월 3주 매출액(21조9천455억원) 대비 각각 매출액이 26조2천298억원, 23조7천887억원으로 19.5%, 8.4% 증가했다. 하지만 8월 1주부터 3주까지는 7월 3주 대비 매출액이 각각 21%, -3.7%, -6.2%로 오히려 감소했다.

소비쿠폰 지급 이후 매출액 감소 현상은 전 업종별로 나타났다.

카드 사용액이 가장 많은 대중음식점은 8월 1주~8월 4주까지 각각 11%, -8.9%, -8.7%, -5.4% 감소했다.

7월 3주 대비 소비감소가 가장 심했던 업종은 병원과 약국으로 같은 기간 각각 31%, -27%, -18%, -10.8% 줄어들었다.

대중음식점은 8월 1주~3주까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9%, -3.7%, -0.1%를, 마트와 식료품도 각각 50%, -9.7%, -6.1%를 보였다.

소비쿠폰 지급으로 가장 매출액 신장세가 눈에 띈 항목은 학원으로 7월 3주 대비 소비쿠폰이 지급된 7월 4주~8월 1주 33.3%, 22.8% 급증했다. 8월 3주~4주도 각각 6.8%, 42.2%였다.

송 의원은 “이번에도 소비쿠폰의 단기성 약발이 그대로 되풀이 된 셈”이라며 “인기영합주의적 단기성 정책보다 중장기적 안목의 경제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즉시제보 : joongboo.com/jebo
▷카카오톡 : 'jbjebo'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사회부) : 031-230-2330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에서도 중부일보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