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권리당원 비중 확대 무게
과반 얻어야 후보 '결선투표안' 유력
국힘, 오픈프라이머리 방식 검토
당심 대신 민심 본선 경쟁력 강화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의 윤곽이 나오자, 경기지역 정치권에서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후보 경선에서 권리당원의 비중 확대에 무게를 두는 반면 국민의힘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검토하며 본선 경쟁력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정권 교체로 진보세가 강해진 경기도에서 민주당 후보 확정이 본선 승리로 이어질 수 있으며, 국민의힘이 다수 단체장을 지키기 위해선 후보 무게감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11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앞서 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은 경선 운영 방식과 당원·일반시민 비율 등 공천 기준 초안을 최고위원회에 보고했다.
초안에 따르면 광역·기초단체장 후보 경선은 과반을 득표해야 후보로 선출되는 방식인 결선투표안이 담겼다. 만일 후보가 4명에서 6명 이상이라면 조를 나눠 권리당원 100%로 진행되는 예비경선을 치러 본선 진출자를 가리게 된다.
다만 본선에서는 기존대로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을 유지하기로 했다.
선호투표제를 도입하는 방안도 초안에서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선호투표제는 지난해 민주당 경기도당 위원장 선출 당시에서도 적용된 형식으로 전체 후보에 차등으로 순위를 매겨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탈락한 후보의 2위 표를 재분배해 최종 후보를 가리는 방식이다.
해당 제도는 사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2위 표가 당락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에 인지도 있는 현역이 유리하다.
이 방식이 확정될 경우, 현재 경기도지사를 비롯한 수원, 용인, 화성 등 다수 지역에 후보가 쏠리면서 다수가 조별 경선을 치를 가능성이 커진다.
국민의힘은 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을 검토 중이다.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제의 한 방식으로, 대선후보 선출권을 소속 당원에 국한하지 않고 일반 국민으로 확대한다.
사실상 당심보다는 이길 수 있는 후보에 집중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도지사 등 이렇다 할 후보군이 없는 현시점에 유승민 전 의원의 등판 등으로 분위기 쇄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경기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도가 가장 많은 단체장이 있기에 이번 지선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인 것은 자명하다. 여야 가릴 것 없이 공천룰을 두고 고심 중”이라며 “내년 선거의 승리가 정부와 당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에 다양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