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연휴 고향 대신 화생행궁 산책
사람들의 다양한 얘기 안주 삼아
켜켜이 쌓인 도시의 추억 재발견
수원의 추석 연휴 밤은 잠잠하면서도 깊었다. 사람들이 각자의 고향으로 떠난 뒤, 도시의 골목은 잠시 숨을 고른다. 오래된 가게 앞에는 지나간 계절의 냄새와 손때 묻은 반찬 기름 냄새가 아직도 남아 있다.
지난 추석, 수원의 근대유산이 있는 골목과 화성행궁 주변을 따라 걷다 보니 비록 고향은 아니지만 그곳이 어느새 내 고향처럼 다가왔던 기억과 이야기들이 하나둘 떠올랐다. 장안문 일대에서 열린 수원미디어아트 행사에는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 날까지 찾아와 함께 시간을 보냈다.
나 역시 타지에서 이사 와 25년 넘게 수원과 경기 지역에서 살았다. 올해 추석에는 수원이 고향이 아닌 분들과 함께 모여 술잔을 기울였다. 다른 지역 출신 시민들도 추석에 가족을 만나는 대신 수원의 밤을 즐겼다. 추석 마지막 날, 장안문 근처 어느 포차에서 수원 갈비뿐 아니라 유명한 통닭, 축제 분위기가 더해진 주변 가게들의 음식들로 기본 이상을 맛보았다.
지역 상인 A씨(50대, 음식점 운영)는 “추석이면 손님들이 모여 서로 안부를 묻던 때가 생각나요. 요즘은 떠나는 사람이 많지만, 그래도 명절만큼은 가게에 사람들이 찾아와 이야기 나누는 게 큰 위안이에요.”라고 말했다. 노포 식당을 운영하는 B씨는 오래된 레시피를 설명하며 “된장, 젓갈, 간장 같은 깊은 발효의 맛이 제대로 나야 진짜 집밥이지요.”라며 미소를 보였다.
요즘 수원 신풍동과 장안동 일대는 두드러지게 변화하고 있다. 추석 연휴로 한산해진 골목은 휴무한 상점들 덕분에 잠시 멈춘 듯하면서도, ‘재발견’의 무대가 되기도 한다.
젊은 방문객들은 오래된 간판, 가게 안 구석구석 남은 흔적을 카메라에 담는다. 그리고 소규모 카페 몇 곳은 연휴에도 문을 열어, 빈 골목에 작지만 따뜻한 불빛을 밝힌다. 이런 풍경은 누군가에겐 고향의 빈자리를, 또 다른 누군가에겐 새로운 발견의 시작을 보여준다.
수원의 추석은 사람들의 이야기와 맛으로 채워진다. 전통주를 파는 가게나 지역 특산물을 새롭게 만나는 일은 단순히 그리움을 소비하는 게 아니라, 이 도시만의 기억을 잇는 일이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목이 아니더라도 수원의 오래된 골목을 거닐며, 노포에서의 인터뷰와 반찬 레시피가 더해진 이 이야기는 수원이 품어준 시간들이며, 누군가에게 소중한 추억일 것이다.
오늘 밤, 누군가의 새 출발을 배웅하며 수원은 또 한 번 사람을 기억했다.
관련기사
- [시민기자가 간다] 조명에서 난방까지 가능한 시대 열린다 LED는 조명 및 디스플레이 등 다방면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LED의 다각적 활용은 최근 고효율기기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관심이 형성된 가운데, LED 발열을 이용한 난방 기술로 확대되었으며, 최근 국내 최초로 LED 가열방식이 개발되어 큰 호응을 받고 있다.본 기술을 개발한 업체는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위치하고 있는 성광조명산업이다. 5년 차의 램프 제조 기업으로 고효율기기를 주력으로 하는 자체 연구 개발을 하고 있다.성광조명산업의 LED 발열을 이용한 기술은 LED(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재사용하여 난방을 가능하
- [시민기자가 간다] 저성장·AI시대 기업 생존 열쇠는 ‘안정적 민첩성’ 세계 주요국이 경기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통화 완화로 선회하는 가운데, 최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올해 기준금리를 2.5%로 동결하였으며, 8월에 발표된 경제전망에서는 올해 성장률을 0.9% 수준으로 제시했다.수출 회복과 물가 안정세가 맞물리면서 완만한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내수 회복은 여전히 제한적이라는 판단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당분간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되, 물가 둔화 속도를 면밀히 관찰하며 금리 인하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러한 거시경제 환경은 기업의 인사·조직 전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