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승용차 등 주요 품목 줄며 한 달 만에 감소
중국·미국 수출 부진…중고차·석유제품은 선전
무역수지 3억 달러 흑자 유지, 컨테이너 물동량 6%↓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 축소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10월 인천지역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인천본부세관이 발표한 ‘2025년 10월 인천지역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2.1% 감소한 50억3천만 달러, 수입은 18.6% 감소한 47억3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수출은 한 달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으며, 수입은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4.8% 감소하며 4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승용차 수출은 신차 부문이 3개월 연속 감소(-44.1%)했지만, 중고차는 11개월 연속 증가(97.6%)했다. 전체 승용차 수출은 2.2% 줄어 6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철강제품 수출도 8.5% 감소하며 1개월 만에 하락세를 기록했다.
반면 석유제품 수출은 33.9% 늘어나며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기계류와 정밀기기(-8.4%), 의약품(-4.2%), 무선통신기기(-45.0%) 등은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36.5%), 대만(75.5%), 독립국가연합(77.2%), 싱가포르(18.9%) 등으로의 수출은 증가했으나 주요 교역국인 중국(-51.1%)은 8개월 연속, 미국(-30.6%)은 3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고 유럽연합(-11.1%)도 감소했다.
수입은 기계류와 정밀기기(22.2%), 광물(0.7%), 화공품(9.8%) 등이 늘었으나 반도체(-28.4%), 원유(-9.3%), 가스(-46.8%), 수송장비(-10.0%) 등은 줄었다.
이에 따라 10월 인천지역 무역수지는 3억1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주요 흑자국은 베트남(4억7천만 달러), 독립국가연합(3억5천만 달러), 중국(2억8천만 달러), 미국(1억9천만 달러)등이며, 주요 적자국은 호주(-5억9천만 달러), 대만(-5억5천만 달러), 일본(-1억8천만 달러), 중남미(-1억2천만 달러)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달 인천항을 통한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은 28만2천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대분)로 전년 동월 대비 6.0% 감소했다.
인천항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연휴로 인한 조업일 감소가 물동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면서도 “일부 품목 수출은 하반기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