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용인시 초교 통학 안전 위해
스마트폰 사용 제한 단말기 설치
학생·학부모 앱 설치 번거로움
홍보조차 안 돼 모르는 경우 다수
앱 설치 학생 3분의 1 수준 그쳐
작동 멈춘 곳도… 실효성 부족 지적
“스마트폰 제한 앱이요? 그게 뭔데요?
19일 오전 8시 30분께 수원의 A초등학교 앞. 이곳은 ‘스마트폰 사용제한 스쿨존’임을 알리는 표지판이 무색하게, 통학하는 학생들은 연신 스마트폰을 확인하며 학교 정문으로 향하고 있었다.
스마트폰 사용제한 스쿨존은 수원시가 관내 9개 초등학교 어린이보호구역에 블루투스 장치를 활용, 통학하는 학생들의 일명 ‘스몸비’를 방지하기 위한 시책이다.
국비 4억1천여만 원이 투입, 장소당 4천500여만 원꼴이 쓰인 셈이다. 작동 방식은 학생과 학부모 모두 관련 앱을 설치한 뒤, 학부모가 해당 앱으로 학생의 스마트폰 이용을 제한하면 현장에 설치된 장치 주변에 있는 학생의 스마트폰 이용을 막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같은 조처에도 무색하게 학생들은 정면에서 보행자나 자전거 등이 오가는데도 휴대폰을 보거나, 심지어는 횡단보도를 건너면서도 스마트폰을 놓지 못하는 모습이다.
학생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게임을 하거나 메시지를 확인하는 등 화면에 집중하며, 보행자와 부딪힐 뻔하는 등 아찔한 상황도 연출됐다.
이는 지난 2022년 비슷한 시책을 마련했던 용인시 역시 마찬가지다.
당시 시는 관내 B초등학교 인근 스쿨존 1천500여m 구간에 3천여만 원을 들여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단말기 60대를 설치했지만, 3년이 지난 현재 해당 단말기들이 작동을 멈추며 통학하는 학생들이 버젓이 스마트폰을 보며 길을 걷고 있었다.
이처럼 수원시와 용인시 등이 학생들의 통학 안전을 위해 조성한 ‘스마트폰 사용제한 스쿨존’의 실효성이 다소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욱이 관리를 위한 예산 역시 마련하기 쉽지 않아 용인시는 사업이 아예 중단된 채다.
앱 설치 등 학부모들과 학생들의 협조가 필요한 만큼 안전한 통학환경을 만들겠다는 취지가 있더라도, 참여를 강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홍보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며 해당 시책을 인지하지 못하는 학부모들도 다수다. 학생과 학부모 양쪽에 앱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 역시 문제다. 상황이 이렇자 앱을 설치한 학생은 2천 명가량으로, 전체 대상 학생인 6천여 명의 3분의 1 수준에 그친다.
수원시 관계자는 “지난해 6월 9개 학교, 올해 6월에야 장치를 설치한 만큼 설치율이 아직은 낮은 상황”이라며 “공문이나 학부모총회 등에서 직접 사업을 설명하며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 인근 아파트단지 광고를 통해 추가적으로 홍보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아현·강민희 인턴기자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