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청장에게 건물 매입을 건의하라고 압박했어요. 이를 거부한 후부터 회장이 저와 동료들을 못살게 굴었어요.”
“기업에서 주민들 위해 쓰라고 준 기부금을 회장 이름 알리는데 썼어요. 지방선거 나가려는 목적으로 쓰인거죠.”
인천지역 주민자치회 문제를 취재해 오면서 공무원과 주민자치위원으로부터 들은 말이다.
주민자치회는 주민들이 직접 지역의 문제점을 발굴하고 해결책을 찾아가는 역할을 담당한다.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에 빠져서는 안 될 요소다.
기대와 다르게 인천 주민자치회에서는 ‘예산으로 위원들이 떡을 사 먹었다’거나 ‘기금을 해외여행비에 사용했다’는 비위 폭로가 잇따랐다.
심지어 주민자치회 사업 홍보에 필요한 현수막을 특정 임원이 운영하는 업체에 의뢰하며 세금을 사비로 착복하는 행태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제보도 있었다.
투명하지 못한 회계 처리뿐만 아니라, 인천 곳곳 주민자치회는 도덕성 논란에도 중심에 섰다.
중구 ○○동 주민자치회장의 공무원들을 향한 ‘갑질’과 동구 ○○동 주민자치회장의 성추문 등 ‘자치’와는 거리가 먼 일들이 많았다.
주민자치회가 가야 할 길은 이렇게 어두컴컴한 길이 아니리라 믿고 싶다.
처음 기자 생활을 시작했던 충남 홍성군에 장곡면이라는 동네가 있다. 2천600여 명이 사는 고요한 시골이다.
이곳 주민자치위원들이 직접 집수리 교육을 배워서 이웃집을 수리해 주고 있다며 지난 10일 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또, 이곳 주민들은 2022년 당시 폐비닐 무단 배출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차례 정책토론회를 개최했고, 이 결과가 조례 제정까지 이어졌다.
진정한 주민자치의 밝은 길은 장곡면의 사례에 가까울 것이다. 나보다 마을과 이웃을 먼저 걱정하는 그런 마음 말이다.
최기주 인천본사 사회부 기자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