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 원안사수해야 수도권 전체 서울 접근 차별없어" 공동 회견
서울 25개 자치구청장협도 가세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D노선 ‘강남 직결’사수를 위해 김포·부천·하남·서울 강동구 지방자치단체장이 모였다.
지난달 말부터 시작된 이른바 ‘김부선(김포~부천선)’논란이 더욱 거세지는 모양새다.
정하영 김포시장, 장덕천 부천시장, 김상호 하남시장, 이정훈 강동구청장과 시민단체 회원 등 10여 명은 이날 부천종합운동장역 1번 출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GTX-D 노선 강남 직결을 촉구하는 공동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입장문을 통해 "수도권 서부권인 김포·부천과 동부권인 강동구·하남 주민들은 광역교통시설의 절대 부족으로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며 "하지만 국토교통부는 수도권과 지방 간 투자 균형 등의 이유로 GTX-D 노선을 (김포∼부천으로) 대폭 축소해 발표했다"고 유감을 표명했다.
이어 "현재 추진 중인 GTX-A·B·C 노선은 모두 수도권 남북과 (동서) 대각선을 잇는 노선으로 계획됐다"며 "D 노선이 동서를 (직선으로) 잇는 구간으로 추진되어야만 수도권 전체가 차별 없이 서울 접근이 가능해진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공정성과 합리성이 결여된 국토부의 GTX-D 노선 발표에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며 "국토부는 D 노선이 김포∼부천∼강동∼강남∼하남으로 연결되도록 6월 확정 고시 이전에 적극적으로 행동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여한 시민단체 회원들 역시 이들 지자체장과 함께 행동하겠다며 GTX-D 노선의 강남 직결을 함께 촉구했다.
김천기 김포검단범대위위원장은 "김포한강신도시를 조성하고 교통이 아닌 불편을 계속해서 감내하라고 한다. 국토부는 GTX-D원안을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형배 김포검단교통시민연대 위원장은 " 국토부의 반의반쪽짜리 노선은 광역급행철도가 아니다. 시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서울시 25개 자치구청장협의회 역시 GTX-D노선 서울구간 연결을 위한 자치구 공동 대응을 의결하면서 힘을 보탰다.
한편,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22일 발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GTX-D 노선은 김포 장기에서 부천종합운동장까지 건설된다.
국토부가 장기∼부천 구간의 총연장 거리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지도상으로 거리를 재 보면 약 20km 길이가 될 전망으로, 이는 경기도가 건의했던 노선과 비교하면 대폭 줄어든 것이다.
도는 김포에서 강남을 지나 하남까지 잇는 68km 길이 노선계획을 건의한 바 있다.
이에 서울 강남까지 직결되는 노선안을 기대했던 김포 등 수도권 서부지역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논란이 거세지자 국토부는 GTX-D 노선을 GTX-B 노선과 선로를 공유해 여의도역 또는 용산역까지 연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서부권 지역 주민들은 강남 직결만이 고질적인 교통난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춘식·오석균·노진균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