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모습. 연합뉴스
헌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모습. 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하면서 정치권도 최장 60일의 조기 대선 레이스에 돌입했다.

차기 대권을 놓고 양보 없는 승부가 예상되는 가운데 헌재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위헌·위법으로 판단하고 파면을 선고한 만큼, 여론 지형은 일단 민주당에 유리한 구도라는 것이 대체적인 분위기다.

민주당은 3년 전 대선 패배의 설욕을 벼른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교두보로 삼아 반드시 정권 교체 완수를 주장한다.

비상계엄에 반대하는 여론이 다수였던 만큼, 좌우 이념 대결이 아닌 ‘민주 대 반(反)민주’ 구도로 선거를 치르겠다는 분석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이 대표가 차기 대권주자로서 당내 압도적 우위를 확보한 가운데, 후보 경선에서도 독주 채비를 갖추는 등 ‘이재명 대세론’이 대선까지 유지될 것이라는 데 큰 이견은 없다.

여기에다 지난달 26일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대권가도의 가장 큰 장애물도 일단 제거된 상황이다. 1심에서처럼 2심에서도 의원직 상실형이 나왔다면 대세론에 제동이 걸릴 수 있었겠지만, 2심 무죄 판결로 기사회생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두관 전 의원 등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의 행보도 관심사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이 대표의 독주를 추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지율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상대당 후보가 ‘일 대 다(多)’ 구도 속에 치러질 경선이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놓고 진흙탕 싸움 양상을 보이면 오히려 중도층을 멀어지게 만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통합 원샷 경선’을 요구하는 조국혁신당 등 다른 당 후보들과의 단일화 여부도 변수다.

국민의힘은 이번 조기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이 탄핵됐다는 불리한 여론을 등에 업고 시작하게 됐다.

조기 대선 최대 과제는 단연 비상계엄에 대한 부정적 여론, 당 소속 대통령이 두차례 연속 파면됐다는 정치적 부담을 어떻게 극복하느냐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때와 달리 보수층이 응집력을 보였지만, 선거의 승패를 가를 중도·무당층을 흡수하는 데는 한계를 노출한 딜레마적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조기 대선을 이끌어갈 동력을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서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받긴 했지만, 남은 사법 리스크 등을 앞세워 ‘반(反)이재명’ 정서 결집을 노릴 가능성이 높다.

국민의힘 대권주자들도 본격 몸풀기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저마다 ‘이재명 대항마’를 자처한다.

현재 대권주자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해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김태흠 충남지사 등이 거론된다.

‘87년 체제’ 극복을 위한 개헌을 전면에 내세워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이 대표를 공격하는 동시에, 치열한 당내 경선을 거치면서 ‘컨벤션 효과’ 극대화도 노릴 것으로 보인다.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이 보수 진영의 표를 얼마나 가져갈지, 강력 부인하고 있지만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 성사 여부도 주목할 변수라는데 이견이 없다.

김재득기자

 

관련기사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즉시제보 : joongboo.com/jebo
▷카카오톡 : 'jbjebo'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사회부) : 031-230-2330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에서도 중부일보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