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미래 불안·우울증 호소
정신건강 분석 등 실태조사 나섰지만
공식 질환 지정 안 돼 피해 입증 한계
정신피해 상담 지원금 수령 어려워
데이터 확보 등 기초조사 확대 필요

지난 6월 19일 오전 수원시 수도권기상청 예보과 상황실에서 관계자들이 장마철 한반도 주변의 기상위성구름을 사전분석하고 있다. 김경민기자
지난 6월 19일 오전 수원시 수도권기상청 예보과 상황실에서 관계자들이 장마철 한반도 주변의 기상위성구름을 사전분석하고 있다. 김경민기자

기후변화 여파로 날씨가 양극단으로 치달으면서 ‘기후우울증’을 겪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기후변화에 따른 정신건강 질환을 정식 질병으로 지정해 대비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5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기후우울증이란 기후변화로 인해 미래에 대한 만성적인 불안감을 겪거나 오락가락한 날씨 영향으로 인한 우울증 등을 뜻한다.

2011년 한 기후 심리학자가 처음으로 제시했을 때만 해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날로 이상기온이 심각해져 학계에서도 기후우울증에 대한 아젠다를 꺼내들기 시작했다.

그동안 기후위기 정책 지원은 기후재난 피해자에게 쏠려 있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예측 불가한 미래를 걱정하며 정신질환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면서 정부도 본격적으로 실태조사에 나서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별도 예산을 세워 ‘기후변화에 따른 정신건강 분석’ 연구를 진행 중이다. 질병관리청은 내년에 실시되는 기후보건영향평가에 정신건강 피해 내용을 포함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계획’에 ‘기후우울증’이라는 단어를 명시해 기후우울증 지원·관리 확대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간 기후 대책에 ‘기후변화에 따른 정신건강’ 내용이 포함된 적은 있지만, 관리 대책으로 기후우울증이 들어간 적은 처음이다.

다만 기후우울증이 아직 공식 질환으로 인정받지는 못한 탓에 정신질환 피해를 입증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기도는 지난 4월부터 노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기후 정신 피해 민간 상담 비용을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문제는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이 있어야 지원이 가능한데, 기후우울증 등 기후 관련 정신질환은 질병 코드가 없어 피해를 입증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 관련 지원비를 받은 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현수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교수는 "한국은 특히 기후우울증을 정식 병명으로 지정하는 데 필요한 의학적 데이터가 많이 쌓이지 못한 상태"라며 "앞으로 기후 정신건강 환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큰 만큼 기후우울증 개념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조사 등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노경민·최진규기자

관련기사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즉시제보 : joongboo.com/jebo
▷카카오톡 : 'jbjebo'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사회부) : 031-230-2330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에서도 중부일보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