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가 보건복지부와 손잡고 인구감소와 지역소멸 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상생협력의 발판을 마련했다.
시는 지난 21일 시청 상황실에서 보건복지부와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 협약’을 체결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복지격차 해소를 위한 공동 추진체계를 구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 7월 제33회 국무회의와 8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된 ‘지방살리기 상생 소비 활성화 방안’의 후속 조치로 추진된 것이다.
협약식에는 이스란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참석해 중앙과 지방이 함께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만들어가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양 기관은 인구감소 지역의 생활 인프라 개선, 지역 특산품 소비 촉진, 워크숍·워케이션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동두천시에서 추진 중인 보건·복지 통합지원 시범사업의 운영 현황을 공유받고, 지역 특성에 맞는 복지모델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스란 차관은 “지역의 고령화와 청년 인구 유출, 복지 서비스 격차는 중앙과 지방이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동두천과의 협약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협약식 이후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현장을 방문해 관계기관과 간담회를 갖고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한편, 박형덕 시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역 보건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주요 현안을 복지부에 공식 건의했다.
박 시장은 “동두천은 경기북부 접경지역으로 의료 인프라 부족과 지역 간 의료격차가 심각하다”며 “국가 차원의 공공의료 강화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시는 ▶경기북부 공공의과대학 설립 지정 ▶보건소 의사 수급 개선 및 국비 지원 확대 ▶응급의료 취약지 지정 유지 등 3건을 중점 건의했다.
특히 대진대학교를 지정대학으로, 동두천·분당 제생병원을 부속병원으로 연계하는 ‘경기북부 공공의과대학’ 설립을 제안하며, 접경지역 의료 불균형 해소의 상징적 모델로 추진 의지를 밝혔다.
박형덕 시장은 “이번 협약은 단순한 교류를 넘어 지역경제와 복지, 의료가 함께 살아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보건복지부와의 협력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살리기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