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가속화로 국지성 호우가 일상화되며 전국 재난 피해가 급증하는 가운데, 침수 대응 핵심 장비의 지역 편중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인천을 포함한 경기·호남 지역은 대규모 배수 장비가 사실상 전무하여 재난 대응 역량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28일 국회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유동수(인천계양갑)의원이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분당 5만ℓ의 배수 능력을 갖춘 중용량포 방사 시스템은 서울·경남에 3대, 더 강력한 대용량포 방사 시스템은 울산·충남에 2대, 배수차는 서울·부산·경상권에 총 18대가 집중 배치돼 있다.

반면, 수도권의 핵심 축인 인천, 경기 및 호남지역에는 이 같은 장비가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장비는 짧은 시간에 집중되는 폭우 피해 확산을 막는 데 필수적이다.

실제로 지난 8월, 인천 계양구에 이틀간 약 270mm의 폭우가 쏟아졌을 때 계양소방서는 자체 장비(분당 약 2천800ℓ 배수)만으로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민간에서 복합식준설차를 임차하며 이틀간 3억 2천만 원의 막대한 비용을 지출해야 했다.

현재 인천시가 중용량포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제작 기간 480일로 인해 내년 여름 호우기 전 장비 확보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유동수 의원은 “현행 소방 장비 체계는 화재와 인명구조에 치중되어 신종 기상재난 대응에 공백이 크다”면서 “기후재난이 일상화된 만큼 서울·경기·인천 등 권역별로 배수 장비를 상호 활용할 수 있는 공동관리·운영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즉시제보 : joongboo.com/jebo
▷카카오톡 : 'jbjebo'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사회부) : 031-230-2330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에서도 중부일보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