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은호 군포시장 “열수송관 파열 사고, 신속 복구 총력”
군포시, 2차 상황대책회의 개최… GS파워 “내일 오전 6시 온수 공급 목표”
노후 열수송관 파열로 5만 가구 난방 중단
군포시, 안양시와 GS파워 협력해 복구 박차
최홍규 부시장, 사고 현장 방문해 재발 방지 당부
GS파워, 전기매트 지원 및 요금 감면 검토
군포시와 안양시 일대에서 지역난방 열수송관 파열 사고가 발생해 수만 가구의 난방 공급이 중단됐다. 군포시는 신속한 복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8일 군포시에 따르면 지난 27일 낮 12시 18분께 범계역 인근에서 누수 신고가 접수됐다. 노후화된 지역난방 열수송관의 파열이 원인으로 파악됐다.
이 사고로 인해 군포 산본지역 아파트 4만8천 가구와 일부 업무시설, 안양 지역 아파트 3천340 가구 및 업무시설 4곳의 열 공급이 중단됐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군포시는 안양시와 열 공급자인 GS파워와 함께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신속한 복구를 위해 협력에 나섰다.
하은호 군포시장은 “조속한 현장 수습과 복구 작업을 통해 추워진 날씨에 온수와 난방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안양시, GS파워와 협력해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28일에는 최홍규 군포시 부시장이 사고 현장을 방문해 “다시는 이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사고 원인을 철저히 밝히고 복구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오후 4시에는 시청 5층 재난안전상황실에서 2차 상황대책회의도 열렸다. 현재 사고 현장에서는 터파기 및 중온수 배출 작업이 진행 중이다.
최길재 GS파워 지역난방기술처장은 “터파기 작업 중 파손부위가 넓은 것으로 파악돼 12미터의 배관 전체를 교체할 계획이며, 이르면 29일 오전 6시께 복구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포시와 안양시는 시민의 불편을 우려하며 안전하고 신속한 복구 작업을 GS에 요청했다.
GS파워는 전날 군포 지역 임대 아파트에 전기매트 600세트를 우선 공급했으며, 추가 배부를 고려 중이다. 또한 피해보상으로 기본요금 및 난방요금 감면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번 사고는 노후화된 인프라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으며 신속한 복구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시민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관련 기관의 지속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김명철 기자
관련기사
- [화보] 범계역 앞 온수관 파열 복구작업 임채운 기자
- 파열된 열수송관 ‘복구 완료’… 군포·안양 5만여 가구 ‘온수 공급 재개’ 지역난방 열수송관 파열사고로 중단됐던 군포 및 안양 지역 아파트 5만여 가구의 온수 공급이 29일 오전 7시께 복구됐다.GS파워는 복구 작업을 완료하고 온수 공급을 재개했다고 29일 밝혔다.지난 27일 낮 12시 18분께 발생한 사고로 인해 군포 산본 지역 아파트 4만8천 가구와 안양 지역 아파트 3천300여 가구의 열공급이 중단됐다. GS파워는 당초 오전 6시께 온수 공급 재개를 목표로 했으나, 현장 안전 확보와 복구 후 2차 사고 예방 등의 이유로 작업이 지연됐다고 설명했다.복구 작업에는 45명의 현장 인력과 굴삭기, 덤프트럭
- '열수송관 파열' GS파워, '난방요금 2% 인하'에 "형식적 보상" 주민 반발 군포·안양 일대 5만여 가구가 지난달 난방 중단을 겪은 열수송관 파열 사고 이후, 열공급사 GS파워가 제시한 요금 2% 인하 방안을 두고 주민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피해 체감도에 비해 인하폭이 지나치게 낮아 사실상 ‘형식적 보상’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24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사고 후 GS파워는 우선적으로 임대아파트 등에 전기매트 600세트를 긴급 배부했다.이후 군포시는 GS파워측과 두 차례 간담회를 열며 요금 산정 기준의 투명성, 유가 하락 반영, 단계적 인하율 제시 등을 요구해왔다.하지만 GS파워가 최근 하은호 군포시장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