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직면한 문제들을 숫자와 통계로 증명하고, 그 해법을 찾아보자고 마음먹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국회 산자중기위)의원이 2025년 국감 성과를 이같이 밝혔다.
허종식 의원은 “인천이 직면한 문제들을 숫자와 통계로 증명하고, 그 해법을 찾겠다”고 밝히며 미래 먹거리부터 민생, 안전까지 총망라한 ‘인천 공부’의 결정체를 내놓았다.
허 의원의 국감 성과 중 가장 주목받는 부분은 인천의 전력망 문제 진단이었다. 그는 송도에 투자하려던 바이오·반도체 대기업들이 “전기가 없다”며 발길을 돌리고 있으며, 최근 1년간 대규모 전력 신청 24건이 모두 거부됐다고 지적했다.
이는 에너지 수급, 도시 계획, 수도권 전력망을 꿰뚫는 전문성이 필요한 영역이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인천의 전력자립률이 243%에서 181%로 급락한 실태였다. 영흥화력 발전량 급감과 수요 폭증으로 서울·경기에 보내던 잉여전력이 3년 만에 3분의 1이나 ‘증발’했다는 데이터는 충격적이었다.
허의원은 “수도권 전력의 47.8%를 인천에 의존하는 만큼 수도권 전체의 동반 위기”라고 경고하며, 전력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인천의 핵심 산업 체질 개선도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중고차 수출 분야는 “평균 단가가 부산보다 44% 낮다”는 데이터를 제시하며 고부가가치 전략을 역설했고, 1천600억 원 실적을 올린 거상의 등장을 질적 전환의 근거로 분석했다.
또한 벤처 보증사고액이 9개월 만에 지난해 치를 넘긴 위험 신호를 포착하고, “인천 벤처 74%가 ‘혁신성장유형’에 편중돼 R&D 기반이 취약하다”고 지적하며 정부의 ‘제3벤처붐’에서 소외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허 의원의 ‘인천 공부’는 거시적 진단을 넘어 민생의 ‘실핏줄’과 안전의 ‘구멍’까지 파고들었다. ‘자영업자 10명 중 7명 월 100만 원 미만 소득’, ‘폐업률 2년 연속 전국 1위’, ‘전기요금 체납 증가율 전국 2배’ 등 민생 실태를 데이터로 명확히 드러냈다.
구조적 문제로는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이 ‘아파트 단지’로 전락할 우려와 인천공항공사의 803억 원 개발이익 회피 ‘꼼수’ 등을 지적했으며, 시민 안전 문제로는 10대 건설사 산재 3배 폭증과 송도 E1 가스누출 원인 규명을 총망라했다.
진단에 그치지 않고 ‘인천 전문가’로서의 해법 제시도 이어졌다.
전력난 해법으로 3.4GW 해상풍력 추진에 힘을 보태고, 이를 뒷받침할 ‘전력망 확충 3법’을 대표발의했다. 특히 백령도 군부대 전력난은 문제 제기를 넘어 한전과 국방부의 실무 협의를 중재, 시급한 758kW의 전력 공급을 승인받는 ‘해결사’의 면모를 보였다.
정쟁으로 흐르기 쉬운 국감 속에서, 허 의원의 ‘현미경식 데이터 국감’은 지역구 의원이 얼마나 깊이 있게 지역을 연구하고 대변해야 하는지 보여준 모범사례가 됐다.
송길호 기자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