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영종 연결 4.68km 해상 교량
공원·자전거길 갖춘 관광형 랜드마크
인천시민 내년 4월부터 무료 통행
인천 영종과 청라를 잇는 제3연륙교가 내년 1월 개통을 앞두고 있다. 송도·영종·청라를 하나의 공항경제권으로 연결하는 이 교량은 교통 인프라를 넘어 인천의 새로운 랜드마크이자 글로벌 관광명소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11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제3연륙교는 왕복 6차로(폭 30m), 총연장 4.68㎞ 규모로, 청라국제도시와 영종국제도시를 잇는 3개 교량 중 유일하게 보행로와 자전거도로가 포함돼 있다.
또한 해상 위 184.2m 높이에 설치된 세계 최고(最高) 해상 전망대가 들어서며, ‘엣지워크(Edge Walk)’ 체험시설 등 관광 콘텐츠를 더해 멀티 익스트림 관광형 교량으로 조성된다.
특히 제3연륙교 전망대는 미국 세계기록위원회(WRC)로부터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해상교량 전망대’ 인증을 받았으며, 기네스북 등재도 추진 중이다. 전망대에서는 서울 남산타워와 롯데월드까지 조망이 가능하며, 하부에는 수변 보행데크와 전망쉼터 등 시민 친화형 관광시설이 들어선다.
또한 제3연륙교와 연계된 영종·청라 명품 공원 조성 사업이 추진된다. 제3연륙교 시·종점부 총면적 25만7천㎡(영종국제도시 12만5천327㎡, 청라국제도시 13만2천601㎡) 규모로, 오는 2027년 착공해 2029년 완공될 계획이다. 공원은 해양·교량 체험이 가능한 복합 관광공간으로 개발된다.
이와 함께 ‘300리 자전거이음길’ 프로젝트도 추진된다. 정서진에서 제3연륙교를 거쳐 영종, 무의도, 신도, 시도, 모도, 청라, 아라뱃길까지 이어지는 총 120㎞ 코스로, 수도권 최고의 해안 라이딩 명소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제3연륙교 개통으로 송도·영종·청라가 하나의 공항경제권으로 연결되면서 인천국제공항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고, 지역 간 균형발전과 관광 활성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편 통행료는 인천시민에게 전면 무료로 적용된다. 영종·청라 주민은 개통 시점인 내년 1월부터, 인천시민 전체는 같은 해 4월부터 무료 통행이 가능하며, 타 지역 차량은 2천원이 부과된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제3연륙교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시민이 함께 만든 공공의 결실”이라며 “지역 간 균형발전과 상생을 이끌고 글로벌 물류와 관광·산업이 융합되는 새로운 성장축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청라하늘대교 vs 영종하늘대교'…인천 제3연륙교 이름 운명은 인천시가 12일 지명위원회를 개최해 제3연륙교의 명칭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어서, 중구와 서구 간의 갈등으로 지연되던 명칭 선정이 마무리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시는 12일 지명위원회를 열어 제3연륙교 명칭에 대한 재심의를 완료할 것이라고 했다.제3연륙교는 중구 영종국제도시와 서구 청라국제도시를 연결하는 총 길이 4.68km, 왕복 6차로 규모의 사장교다. 총사업비 6천500억 원이 투입됐으며, 2020년 12월 착공해 2025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앞서 시는 지난 7월 지명위원회를 통해 제3연륙교의 공식 명칭을 ‘청라
- 이용우 의원, 제3연륙교 명칭 ‘청라하늘대교’ 확정 촉구 이용우(더불어민주당·서구 을) 국회의원이 제3연륙교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확정할 것을 인천시에 강력 촉구할 예정이다.이 의원은 오는 12일 오전 9시 30분 인천 서구청 브리핑룸에서 제3연륙교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하겠다고 밝혔다.이번 기자회견은 인천시에서 기존에 결정된 제3연륙교 명칭인 청라하늘대교가 아닌 다른 명칭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추진됐다.이 의원은 “별다른 사정변경도 없는 상황에서 시 지명위원회의 결정을 뒤집는 것은 정치적 결정이자 지명위의 고유 권한을 훼손하는 행태”라며 “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