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입국·의료·주거 등 생활정보 통합 제공…AI 다국어 상담 도입
위치 기반 커뮤니티·기관 연계 구축…81만 이주민 정보격차 해소 기대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을 갖춘 ‘이주민 포털’을 지원한다.
경기도는 이주민 언어·문화 정책과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 내년 상반기에 개통한다고 18일 밝혔다.
‘경기도 이주민 포털’은 도내 약 81만명의 이주민이 겪는 정보 접근성 문제를 해소하고 생활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행정 조성이 목적이다.
주요 기능은 ▶출입국·고용·교육·주거·의료·복지 등 주요 행정정보 통합 제공 ▶AI 챗봇 기반 다국어 질의응답 ▶이주민 커뮤니티 공간 운영 ▶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종합정보 제공 등이다.
이 중 이주민 커뮤니티 운영은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해 지역별 의료기관, 교육기관, 문화행사 등생활 밀착형 지역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특히 전국 최초로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한 다국어 상담 기능을 도입, 체류·노무·생활 등 분야별 맞춤형 안내가 가능하다. 6개 언어 전문 번역과 실시간 구글 번역 기능을 갖춰 언어권별 정보 격차를 최소화한다.
포털은 내년 상반기 서비스 개통을 목표로 6개월간 구축 작업을 진행한다.
도는 포털 개발 후 기관별로 분산된 이주민 지원 정책과 사업 정보를 한곳에서 볼 수 있어 이주민뿐 아니라 행정기관의 업무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도는 이날 의정부에 위치한 경기도 북부청사에서 김원규 경기도 이민사회국장 주재로 경기도 이민사회통합지원센터, 용역 수행업체 관계자, 도내 이주민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이주민 포털 구축 용역’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허영길 도 이민사회정책과장은 “이주민 포털은 도내 거주 이주민에게 AI 기반의 맞춤형 정보제공과 커뮤니티 운영을 지원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의 정보 격차를 줄이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정착과 지역사회 참여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