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환자 줄어 경영난 심화
50억 대출로 운영… 임금 체불 위기
시에 지원 요청했지만 추경에 10억
내년 본예산은 요청액 절반만 편성
인천시 "재정 여건상 즉각 지원 어려워"
인천의료원이 심각한 재정난으로 대출까지 받아 운영을 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의 예산 증액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국보건의료노조 인·부천지역본부는 19일 오전 11시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인천시는 코로나19 종식 전까지 감염병 전담병원으로서 일반 환자 진료를 중단하며 헌신한 의료원의 재정난을 외면하지 말고 충분한 예산을 책임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오세랑 보건의료노조 인천의료원지부장은 “코로나 이후 일반 환자가 줄고, 경영이 정상화되지 못한 상황에서 아껴뒀던 코로나 손실보상금도 상반기에 모두 소진됐다”면서 “11월부터는 임금 체불이 예상돼 절박한 사정을 시에 수차례 알리고 예산 지원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는 ‘임금 체불은 해결해야 한다’며 우선 의료원이 50억 원 대출을 받은 뒤 추가경정예산으로 상환금을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최근 발표된 3차 추경안에는 10억 원만 반영됐다”며 “인천의료원이 무너지면 그 피해는 결국 인천 시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명심 보건의료노조 인·부천지부 본부장도 “인천의료원이 겪는 오늘의 어려움은 단순한 경영 문제가 아니고, 공공의료에 대한 지방정부의 구조적·정치적 책임 부재가 초래한 결과”라며 “공공의료원 운영비는 시에서 책임있게 지원하는 것이 국가 정책의 기본 원칙이자 행정적 책무지만, 인천의료원은 재정난에 놓여 50억 원 대출을 받아야 하는 상황까지 놓였다”고 했다.
인천의료원을 포함한 지방의료원들은 코로나19 장기화와 2년가량 지속된 의·정 갈등 등으로 재정적자가 심화됐다.
인천의료원의 경우 계속된 재정난으로 임금 체불 위기에 놓이자 인천시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시는 재정 상황을 이유로 자구책 모색을 주문했다.
이에 인천의료원은 개원 이후 처음으로 50억 원 대출을 받았으나, 2025년 3차 추경에는 대출금의 5분의 1인 10억 원만, 2026년 본예산에는 의료원이 요청한 220억 원의 절반인 109억 원만 편성됐다.
인천의료원은 남은 빛과 부족한 재정을 동시에 감당해야 하는 처지다.
시 관계자는 “임금 체불을 막기 위한 방법은 결국 예산 확보뿐이지만, 여의치 않아 의료원이 자체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었다”며 “예산 증액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예정이지만, 재정 상황이 어려워 확답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