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갈라진 경기북부 산단 지도

7일 연천 BIX 산업단지 일대. 일부 기업이 입주해 있지만 전체 부지는 대부분 비어 있어 미분양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배후 산지와 함께 조성 부지의 광범위한 공백이 한눈에 보인다. 이석중기자
7일 연천 BIX 산업단지 일대. 일부 기업이 입주해 있지만 전체 부지는 대부분 비어 있어 미분양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배후 산지와 함께 조성 부지의 광범위한 공백이 한눈에 보인다. 이석중기자

경기 북부 산업단지가 지역별로 선명한 대비를 보이고 있다.

양주와 포천은 기존 산업 기반과 생활 인프라를 토대로 확장 또는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동두천과 연천은 분양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양주·포천과 확연히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산업단지 입지·정주환경·배후산업 구조의 차이가 누적되며 ‘산업단지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양주는 경기 북부에서 산업 생태계가 가장 빠르게 확장되는 지역으로 꼽힌다. 양주 은남일반산단은 조성 초기부터 안정적인 관심을 받아왔고, 양주 테크노밸리 역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기업 문의가 꾸준하다.

은남산단은 기존 섬유·기계산업과 연계성이 높고 교통 접근성이 우수해 신규 기업 유치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구조를 갖췄다는 평가다.

양주 테크노밸리는 첨단산업·지식기반서비스 중심으로 서울·경기 남부 산업축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있다.

포천 역시 기존 산업 기반이 두터운 지역으로, 식품·섬유·금속·건자재 등 전통 제조업이 오래전부터 집적돼 있다.

이미 운영 중인 다수의 산업단지가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신규 기업 유입 시 정착이 빠르다는 점이 강점이다. 별도의 대규모 신규 산단이 없어도 분양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유다.

반면 동두천과 연천은 미분양 장기화 속에 정체 지역으로 고착되는 모습이다.

동두천 국가산업단지는 64필지 중 2필지 분양(약 3%)에 그치고 있으며, 연천 BIX도 29% 수준에서 정체돼 있다.

업계는 두 지역 모두 ▶접근성 ▶인력 수급 ▶생활 인프라 ▶기반 산업 부족 등을 공통된 한계로 지적한다.

임영주 중기중앙회 경기북부본부 부장은 “산업단지는 입지가 가장 중요한 변수인데, 연천·동두천은 접근성·이미지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하다”고 말했다.

전문인력 통근권과의 거리도 양극화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양주 테크노밸리가 수도권 첨단산업 벨트와 맞닿아 있는 반면, 연천·동두천은 전철·버스망이 있어도 전문인력 통근권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정주 인프라 부족은 연천·동두천 기업이 공통적으로 제기하는 문제다.

연천 BIX 입주기업 한 대표는 “연천에서는 기술직·연구직 채용이 거의 불가능해 본사 직원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실정”이라며 “행복주택을 기숙사로 활용하려 했지만 조건이 맞지 않아 활용이 제한적이었다”고 말했다.

기반 산업의 두께도 차이를 만든다.

양주·포천 기업 협력 네트워크 형성
신규기업 정착 빨라 분양률 안정적
반면 연천·동두천, 단독 입주 부담
전문가 "보완 가능형 역할 부여돼야"

포천의 경우 기존 제조업 생태계가 촘촘해 신규 기업이 입주하면 자연스럽게 협력기업층이 형성되지만, 연천·동두천은 배후 기업층이 얇아 기업이 단독으로 입주해야 하는 부담이 크다.

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기업은 고립을 우려한다. 협력업체와 인력 풀이 부족한 지역은 분양가가 아무리 낮아도 이전 결정을 주저하게 된다”고 말했다.

행정 전략의 차이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있다.

양주·포천은 산업단지 개발과 기업 수요 분석을 장기적으로 병행해온 반면, 연천·동두천은 미군기지 반환·접경지역 정책 등 국가정책 의존도가 높아 자체 산업전략 수립이 후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조성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북부 산단은 개별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산업축 재편과 연결돼 있다”며 “외곽 지역 산단에는 기존 산업도시를 보완하는 ‘기능형 역할’이 부여돼야 지속 가능성이 생긴다”고 분석했다.

종합하면 경기 북부 산업단지의 양극화는 입지·정주환경·기반산업·행정 전략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동두천·연천이 정체 국면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단지 조성 단계를 넘어 지역 전체 산업 기능을 재정의하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관련기사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즉시제보 : joongboo.com/jebo
▷카카오톡 : 'jbjebo'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사회부) : 031-230-2330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에서도 중부일보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