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AI국 신설 등 AI행정시스템 31개 시·군 중 19곳 도입
여기저기서 전화벨이 울리고 모니터에서는 숫자가 올라간다. 컴퓨터에 채팅하듯 질문을 입력하자, 곧바로 요청한 문서가 나타난다. 챗GPT와도 닮은 이 시스템은 화성시 콜센터에서 운용 중인 AI 서비스 ‘똑비’다. 똑비는 이제 콜센터 업무에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됐다.
상담사들의 답변을 표준화하고 업무 적응을 돕기 위해 개발된 똑비는 화성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해 민원인이 요구하는 각종 정보와 그에 맞는 규정 등을 신속하게 정리해 보여준다.
시는 이 시스템 도입으로 상담사의 업무 숙련도와 상관없이 일관성 있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화성시는 민원인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AI 챗봇시스템 ‘화성 소통봇’도 운용 중이다.
시스템 도입과 운영을 담당하는 이혁 화성시 주무관은 "기존에는 상담사가 실무에 투입되려면 2천500여 가지 답변 매뉴얼을 외워야 해 최소 3개월 이상이 걸렸다"며 "똑비 서비스를 구축한 이후 그런 문제가 말끔하게 사라졌다"고 말했다.
이 주무관은 이어 "통계 기능 등을 보강해 올해 안에 본격적으로 민원업무에 투입할 계획"이라며 "정해진 답변만 제공하는 한계가 지적된 챗봇도 민원인에게 더 유연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지방행정에서도 AI 활용이 본격화하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7월 조직개편과 함께 AI국을 신설했다. AI를 통한 도민서비스 발굴, AI클러스터 조성, AI전문인력 양성, 데이터 축적 및 개방,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구축 등 AI 인프라 구축과 산업육성을 총괄하는 역할이다. 이 같은 AI 행정 시스템은 도내 기초자치단체 31곳 중 19곳이 도입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도 AI국 관계자는 "경기도는 AI+X(모든 분야에 AI 기술이 활용되는 결합시스템 사회)를 목표로 한다"며 "공공부문과 일상 일터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전 도민의 AI 일상화를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찬구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 [팩트인사이드] 공공 영역에도 '곳곳 AI'… 지방공무원 일자리 감소 현실화 우려 [AI와 지방행정] AI(인공지능)는 현재다. 얼마 전까지 상상에 그친 일들이 이제는 현실이 됐다. 창의성, 예술 분야 등 인간 영역으로 여겨졌던 일들도 AI가 능력을 보여주면서 인간 역할을 대체할 거란 전망이 정도를 더해간다. 공공 분야도 마찬가지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공무원의 경우 ‘지방 소멸’ 등의 위기에 AI 발전이 더해지면서 설상가상이 될 거라는 우려가 나온다. 중부일보는 5회에 걸쳐 지방자치단체의 AI 활용과 디지털화 현황을 짚어보고 ‘AI 시대에 지방정부 규모는 축소되나’라는 질문에 답을 구한다.◇도내 지자체
- [팩트인사이드] AI안심통학로·로봇재활·어르신 건강관리까지 척척 AI와 지방행정 2AI(인공지능)는 현재다. 얼마 전까지 상상에 그친 일들이 이제는 현실이 됐다. 창의성, 예술 분야 등 인간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것들도 AI가 능력을 보여주면서, 인간 역할을 대체할 거란 전망이 정도를 더해간다. 공공 분야도 마찬가지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공무원의 경우 ‘지역소멸’ 등의 위기에 AI 발전이 더해지면서 설상가상이 될 거라는 우려가 나온다. 중부일보는 5회에 걸쳐 지방자치단체의 AI 활용과 디지털화 현황을 짚어보고 ‘AI 시대에 지방 정부 규모는 축소되나’라는 질문에 답을 구한다.AI행정은 전자정
- [팩트인사이드] 거짓말·편향성 허점많은 AI, 행정업무 전담은 시기상조 AI와 지방행정 3 민간은 물론 공공영역에서도 AI는 일상이 되고 있다. 전국 다수 광역·기초자치단체가 AI를 활용하거나 도입 중이다. 앞서 행안부는 지난 2019년 국가공무원 25%가 AI로 대체 가능하다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최근에는 이보다 더 진전된 분석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업무 70% 이상을 자동화할 수 있는 일자리가 38.8%(2023년 기준)에 달한다고 예측했다. 그렇다면 AI는 현재 지방행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시킬 수 있지만 다 맡기긴 어렵다AI는 그림을 그리고 작사·작곡을
- [팩트인사이드] 시민에 딱 맞는 복지 지원… 핀란드 '인간 중심 오로라AI' 주목 AI와 지방행정4공공 영역에 AI를 도입하는 것은 한국만의 흐름은 아니다. 영국 기술정책 연구소 옥스퍼드 인사이트(Oxford Insights)는 지난해 국가별 ‘정부 AI 준비지수’를 발표했다. 정부의 역량과 기술 인프라 등이 갖춰진 정도를 10가지 기준으로 따져 선정한 AI 준비지수는 미국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싱가포르·영국·핀란드·캐나다·프랑스·한국·독일·일본·네덜란드 순이다.이 가운데 정부의 윤리적·전략적 고민에 높은 점수를 받아 4위에 오른 핀란드가 눈에 띈다. 핀란드는 ‘거버넌스와 윤리’ 항목이 92.68점으로 종합
- [팩트인사이드] "AI행정, 지방공무원 위기 아닌 핵심 업무 집중 발판 될 것" AI와 지방행정 5[AI와 지방행정] 윤상오 "단순 반복 업무 줄고, 핵심 업무 더 집중하게 될 것" 중부일보는 앞선 4편의 보도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뤄지고 있는 AI행정 현황을 알아보고, 이러한 움직임이 지자체나 지방공무원의 역할을 축소할지 여부를 분석했다. 또 ‘인간 중심 AI’를 지향하는 핀란드 사례를 통해 행정 AI화에 관한 다른 관점들도 살펴봤다. 취재를 종합하면 전국 지자체의 AI 도입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본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공무원 정원의 급격한 감소나 지자체 역할 축소는 대체로 사실이 아닌 것으로



AI기자 요약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