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 복합문화센터, 10년의 표류
중앙투자심사 세 번의 문턱을 넘지 못한 이유
축소된 규모와 예산 부담, 사업 계획의 변화
오염 토양 정화와 예산 편성의 필요성
주민 불만 고조, 착공 지연 우려 커져

사진은 군포시복합문화센터 조감도. 사진=군포시
사진은 군포시복합문화센터 조감도. 사진=군포시

군포시가 산본동 옛 차고지 부지에 조성하려던 ‘군포복합문화센터’ 건립 사업이 또다시 멈춰섰다.

지난 2013년 부지를 매입하고,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해 온 사업이지만, 정부 중앙투자심사(중투심)를 잇달아 통과하지 못하면서 10년째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군포시는 올해 4월 1차 중투심에서 “운영수지 재산정·수요 기반 편익 검토 미흡”을 이유로 반려 통보를 받았다. 이후 2천만 원을 들여 타당성 재검토 용역까지 실시했지만, 10월 3차 심사에서도 토씨 하나 바뀌지 않은 동일한 사유로 세 번째 반려가 내려졌다.

반려 사유가 반복된 것은 사업계획 보완, 설계 조정, 수요 검증 과정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군포복합문화센터는 당초 지하 3층에서 지상 3층 규모로 추진됐으나 예산 부담을 이유로 지하 1층에서 지상 2층, 연면적 5524㎡ 규모로 축소됐다. 총사업비는 366억 원으로 재산정됐고, 이 중 약 180억 원은 군포시가 자체 부담해야 한다. 군포시는 국비를 체육시설 용도로 받은 만큼 수영장·헬스장 중심의 구성 변경은 어렵다면서도 “수요와 운영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재입증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부지는 과거 버스 차고지로 사용돼 오염 토양 정화 명령이 내려졌다. 군포시는 내년 본예산에 관련 비용을 편성해 별도 사업으로 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비용은 약 10억 원, 기간은 최소 1년 이상 소요될 전망이다.

현재 부지는 캠핑카와 차량들로 가득 찬 임시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시가 10년째 사업을 끌면서 결국 시민들만 기다리게 한다”, “희망고문이 따로 없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군포시는 내년 초 다시 중투심 재상정을 준비하고 있지만, 반려 사유가 반복되고 정화 작업까지 겹치며 실제 착공이 더 늦어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사진은 군포복합문화센터  예정 부지. 사진=군포시
사진은 군포복합문화센터 예정 부지. 사진=군포시

최근 군포시의회 홈페이지에는 “군포시가 복합문화센터로 주민을 희망고문하고 있다. 예산 낭비에 대한 감사가 필요하다”는 시민들의 항의성 글이 이어졌다.

김귀근 군포시의회 의장은 “같은 사유로 연달아 반려된 것은 행정 대비가 현저히 부족했다는 의미”라며 “그동안 더 강하게 요구하지 못한 것도 의회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사업을 점검하고, 군포시민의 숙원인 복합문화센터가 조속히 추진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군포시 관계자는 “2026년 중투심 재상정을 목표로 사업비 재산정, 운영수지 재검토, 오염토 정화 등을 순차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주민들 사이에서는 “기약 없는 연기만 반복될 뿐”이라며 사업 장기 표류에 대한 강한 불신을 드러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즉시제보 : joongboo.com/jebo
▷카카오톡 : 'jbjebo'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사회부) : 031-230-2330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에서도 중부일보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