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죄인이지 죄인이야….”

지난달 20일 오산시 궐동의 한 상가주택 화재 현장에서 만난 상가주인이 한숨을 쉬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화재는 2층에 거주하던 20대 여성 A씨가 라이터와 스프레이 파스를 이용해 바퀴벌레를 잡으려다 불이 쓰레기 더미로 옮겨붙으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30대 여성이 생후 2개월 아이를 옆건물로 대피시킨 후 추락해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였다.

온 종일 ‘오산 바퀴벌레 화재’로 여론의 주목을 받았지만 그 내면에는 씁쓸한 진실이 숨겨져 있다.

화재 초기진압이 어려웠던 이유에 대해 취재를 이어가던 중 조각난 퍼즐을 맞춰보니 A씨는 은둔형 청년으로 추정되는데 집안에는 생활 폐기물이 쌓여 있어 불이 순식간에 번졌다.

또 화재가 발생한 건물은 일명 쪼개기 방식으로 방을 쪼갠 위반건축물로 건축 도면과 달라 초기 진압이 어려웠고 소방시설도 제대로 갖춰져있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졌다.

그렇다면 어쩌다 오산시 궐동일대는 경기도 안에서도 손가락 안에 드는 ‘위반건축물 텃밭’이 된걸까. 아직도 여전히 ‘위반’딱지를 떼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건물주 입장에서는 이행강제금보다 월세로 들어오는 수익이 더 많아서 “벌금내면 그만”이라고 버텨오다 보니 이러한 문제가 쉽게 개선되지 않는 모양새다.

이런 이유로 화재에 취약한 위반건축물에 살고있는 서민층이 여전히 위험에 놓여 있다.

은둔형 청년과 위반건축물이라는 두 퍼즐은 다른듯 닮은 구석이 있다. 바로 도움의 손길을 통해 본래의 모습을 찾을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가 아닌 현재에 초점을 맞춘 사회복지 정책과 더불어 정부와 지차제가 함께 위반 건축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속과 제도를 강화해 안전관리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김이래 지역사회부 기자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즉시제보 : joongboo.com/jebo
▷카카오톡 : 'jbjebo'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사회부) : 031-230-2330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에서도 중부일보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