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20대 총선의 특징은 한 마디로 늦어진 선거구 획정과 각 정당별 계파갈등 등으로 인해 내놓은 정책 및 공약에 대한 검증 시간이 너무 촉박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다보니 각 후보자들이 제대로 준비된 정책과 공약을 내놓을리 만무다. 더구나 이를 어떻게 지켜내겠다는 매니페스토 역시 실종된 선거였다. 공약에 관한 여러 가지를 생각하는 유권자들의 수준을 얕본 결과다. 알다시피 이번 선거에 또 하나 특징은 예전같지 않은 유권자들의 높은 안목이다. 새누리당의 경우 후보를 보기보다 당내분에 지겨워진 분위기를 고스란히 투표에 전한 일이 그것이다. 이렇게 유권자들의 생각은 점차 올라가는데 정당과 후보자 수준이 그 자리에 머물고 있다면 문제다.

인천의 경우 지역별 상충 공약이 많아 고민이다. 그러니까 함께 살아야 하는 부딪히는 상충공약이 많다는 점이다. 주민들의 삶에 보탬이 돼 보겠다는 공약이 오히려 주민갈등을 부채질 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계양 예비군훈련장 부평 이전 문제다. 선거에서 계양갑·을 당선인들은 부평으로 옮기겠다고 했고, 부평갑·을 당선인들은 무조건 막겠다고 했다는데 이를 바라본 주민들의 시선은 싸늘하기만 하다. 당장에야 주민들을 위한다는 공약이지만 계양구가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2명을 냈고 부평을 역시 더민주 홍영표 의원이 당선된 것을 감안하면 점입가경으로 얘기가 흘러가게 된 셈이다.

여기에 서구 루원시티 앵커시설로 인천시청을 가져오겠다는 서구갑 새누리 이학재 의원과 인천시교육청을 남구로 가져오겠다는 남구갑 새누리 홍일표 의원 공약이 실행되려면 남동갑 더민주 박남춘 의원과 남동을 윤관석 의원과 필연코 부딪히게 되는 점도 문제다. 당연히 공약 이행 과정이 구체화되면 여기에 이해가 얽히게 되는 각 주민들이 동원된 집단행동까지 예상되면서 중재역할이 필요한 상태다. 사실상 이 모두의 공약이 이렇게 꼬여만 가는 이유는 집단이해의 부족에서 온다. 실제로 본보가 살펴본 결과 당선인 공약 중에 공장증설, 일자리 창출, 공단 확대, 배후부지 활용 등의 단어가 들어있다면 곧 수도권규제를 풀어야하는 법개정과 직접적 연관이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역대 두 번의 국회에서도 수도권규제는 풀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후보들은 이를 거론했다. 그 중심의 내용은 알다시피 수도권정비법 개정 등을 통해 인천 등에 국내기업, 공장 등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지만 수도권 외 지역 국회의원들이 반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인천 국회의원들은 법 개정안에 이름만 얹어놓는 면피전략을 택해 따가운 시선을 느껴왔다. 우리는 무엇보다 인천의 각 후보자들끼리 지역별로 공약이 상충되거나 시정과 정반대 내용의 공약을 내는 것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일상에서 정책 연구를 하지 않고 선거때가 임박해 얻어내려는 결과가 이렇게 나타난 일이다. 결자해지는 인천시와의 당정협의회에 있다. 인정할 것은 지금이라도 인정하면서 수정해 나가는 일이 급선무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