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퇴 ID만 있고 본문에 개인 식별 내용 없으면 '잊힐 권리' 행사 못 해

다음 달 한국판 '잊힐 권리' 가이드라인이 시행되면 인터넷에 떠돌던 나의 부끄러운 자취(일명 '흑역사')를 진공청소기로 빨아들이듯 몽땅 없앨 수 있을까?

아니다. 본인 사진이나 고향 등 '작성자가 나'라는 사실이 드러나는 내용이 전혀 없는 게시물은 여전히 블라인드(열람 금지) 처리가 안 된다. 잊힐 권리 가이드라인과 관련해 사용자 주의가 필요한 대목이다.

25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흑역사를 지우고 싶은 네티즌은 가이드라인에 따라 문제가 된 게시물이 '내가 작성한 소유물'이란 사실을 구체적 증거로 포털 등 온라인 사업자에게 제시해야 한다.
PAP20150321022301034_P2.jpg
그런데 본인 신분증을 내민다고 증거 제시가 끝난 게 아니다. 사람들이 보통 잊힐 권리를 행사하려는 콘텐츠는 과거에 탈퇴한 사이트의 게시물이다. 그런데 국내 법령상 온라인 사업자는 사용자가 탈퇴하면 저장하던 개인 정보를 모두 폐기하게 되어 있다.

즉 탈퇴 후 신분증을 갖고 특정 ID의 게시물을 바로 지워달라고 해도 사업자로서는 '특정 ID = 아무개'라는 사실을 확인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게시물 내용으로 본인 확인을 해야 한다. 콘텐츠에 사진, 출신학교, 주소, 가족·교우관계 등 개인 신상을 알 수 있는 대목이 있어야 한다. 이에 맞춰 주민등록등본이나 학교 졸업증명서 등 서류를 내면 자신이 썼다는 게 확인된다.

온라인 평판관리 업체들은 이 때문에 잊힐 권리 가이드라인이 큰 실효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사람들이 지우고 싶어하는 흑역사 중에선 자신에 대한 언급 없이 다른 개인·단체·지역을 노골적으로 비방한 글이나 만화 등 저작물을 그대로 퍼온 게시물이 많은데, 이런 사례는 본문에 탈퇴한 ID만 남아 있을 뿐이라 구제를 받을 방법이 없다는 얘기다.

평판관리 업체인 산타크루즈컴퍼니의 김호진 대표는 연합뉴스와 전화 통화에서 "인터넷 사업자가 탈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폐기할 때 해당 기록의 사본을 특정 공공 보관소에 영구 보관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만하다. 탈퇴 ID만으로 본인 입증을 하려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잊힐 권리 가이드라인의 주무 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이처럼 개인 식별 내용이 없는 게시물까지 블라인드 처리를 허용하진 않을 방침이다.

탈퇴한 ID만으로 게시물을 사라지게 해주면 잊힐 권리 남용이나 인터넷 검열 등 우려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탈퇴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잊힐 권리 행사를 위해) 어딘가에 보관하려면 현행 법규를 모두 고쳐야 한다. 무리한 조처라고 본다"고 말했다.

단 특정 ID로 여러 개의 게시물을 올렸고 복수의 콘텐츠에 이름과 학교 등 신원[009270] 정보가 조금씩 흩뿌려져 있다면 블라인드 처리를 할 수 있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즉 각 게시물에 조각조각 드러난 신상 정보를 모아 해당 탈퇴 ID가 본인이라는 것을 사업자에 증명하면, 이 ID가 붙은 콘텐츠 모두에 잊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증명 절차는 사업자별로 따로 진행해야 한다.

예컨대 A 포털과 B 포털에 같은 ID로 가입했다가 몽땅 탈퇴한 사람이 A 포털에서 특정 ID가 본인이라는 걸 입증한 경우, 이 사람이 B 포털에 가서 '해당 ID가 나로 확인됐으니 게시물을 블라인드 처리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은 안된다. B 포털에서 다시 신상 내용이 노출된 게시물들을 모아 본인 입증을 해야 한다는 얘기다. 연합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