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불명의 은어(隱語·어떤 계층이나 부류의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자기네 구성원들끼리만 빈번하게 사용하는 말)에 해당하는 신조어가 난무하면서 세대별 소통이 단절되고 있다.

중부일보 취재진이 9일 한글날을 맞아 10대들이 애용하는 인터넷 용어 등으로 구성된 문구를 20대, 30대, 40대 이상에게 제시한 결과 대다수가 문구내용을 풀이하지 못한 결과가 도출됐다.

취재진은 6일 10대 5명, 20대 4명, 30대 2명, 40대이상 5명 등 모두 16명의 시민을 무작위로 선정, “영희를 ‘세젤예’라고 알고 있는데, 걔 사실 ‘갈비’야. ‘ㄹㅇㅂㅂㅂㄱ’.”란 문구에 대한 풀이를 부탁했다.

해당 문구에 대해 10대 5명 전원은 막힘 없이 풀이를 한 반면, 다른 세대들은 의미를 해석하지 못하는 등 풀이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다.

20대 4명 중 2명은 ‘세젤예’는 해석 했으나 나머지 2명은 ‘세젤예’, ‘갈비’, ‘ㄹㅇㅂㅂㅂㄱ’ 등의 신조어의 의미를 몰라 결국 문구를 풀이하지 못했다. 30대와 40대 이상 7명 전원은 문구의 의미를 전혀 해석하지 못했다.

‘세젤예’는 ‘세상에서 제일 예쁜 아이’, ‘갈비’는 ‘갈수록 비호감’을 줄인 신조어다. 한글의 초성만 딴 신조어인 ‘ㄹㅇㅂㅂㅂㄱ’은 ‘레알 반박불가’의 뜻으로, 이중 ‘레알’은 영어 ‘real(진짜)’을, 반박불가는 ‘반박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영희를 ‘세젤예’라고 알고 있는데, 걔 사실 ‘갈비’야. ‘ㄹㅇㅂㅂㅂㄱ’.”의 문구를 기성세대가 사용하는 단어로 재구성한 “영희를 ‘절세가인’이라고 알고 있는데, 걔 사실 겪어볼 수록 호감이 가지 않는다. 이견의 여지가 없어”란 문구에 대해서는 10대 모두가 “‘절세가인’, ‘이견’ 등의 의미가 헷갈린다”고 밝히는 등 풀이에 어려움을 겪은반면 나머지 세대 전원은 쉽게 해석했다.

이날 설문에 응한 김모(18·영복여고)양은 “평상시 10대들이 사용하지 않는 ‘절세가인’ 등의 단어들 때문에 풀이에 확신이 없어 애먹었다. 앞뒤 문맥을 바탕으로 대충 찍어 해석했는데 그나마 풀이가 맞아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각종 신조어에 대해 10대~20대는 또래집단에서 표준어처럼 사용하고 있는데다 모바일 언어로 친구끼리 통용하고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모(17)양은 “어른들이 쓰는 단어는 구리다”며 “친구들과 온라인 채팅 또는 SNS로 대화할 때 글자를 입력하는 시간도 줄이고, 재미까지 더해 신조어를 즐겨쓴다”고 말했다.

대학생 이모(20·여)씨는 “‘세젤예’ 등은 친구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지만 10대들이 사용하는 신조어들이 워낙 빠르게 생겨나 의미를 잘 모를 경우가 많다”며 “아직은 신조어가 기성세대가 쓰는 단어보다 신선하다고 느낀다”고 밝혔다.

30대 이상의 청장년층은 10대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신조어에 대해 거부감을 보였다.

학원강사 김모(37·여)씨는 “제시한 문구 중 ‘갈비’는 몹시 마른 몸매를 비꼬아 말하는 단어인 줄 알았다.‘갈수록 비호감’으로 통용된다 해서 놀랐다. 줄임말이 대세라지만 정도를 지나치는 것 같아 거부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자영업자 김모(53)씨는 “젊은세대들만의 언어가 있는 것에는 부정하지 않지만 세대 간 소통이 단절될 수 있음을 제시한 문구를 보며 심각하게 느꼈다”며 “청소년들이 신조어를 국어사전에 나와있는 한글처럼 간주하고 사용한다면 우리나가 고유의 한글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 같아 우려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신조어가 지속적으로 탄생하는 등 일종의 언어파괴 현상은 지속될 것이며 세대 간 소통 단절의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박재연 아주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할 뿐 아니라 사용자들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다만 세대 간 소통이 불가한 상황이 연출되는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에서 신조어를 사용하는 것에 문제를 제기할 수는 없으나 신조어를 사용함에 있어 욕설이나 비속어가 일상화되고 있는 현상이 우려된다 ”고 덧붙였다.

황근 선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언어는 고정돼 있지 않다. 시대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문제는 모바일 등 디지털디바이스를 통해 신조어들이 확산돼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변한다는 것이다. 사회적 통합의 관점에서 언어적 동질감이 가장 중요할 수 있는데, 언어의 변화는 사회를 급격히 분화시킬 수 있는 소지가 있어 문제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신병근·허지성기자/bgs@joongboo.com

▲ 사진=LG 케미토피아 제공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