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한 지방정부로부터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 예방수칙을 홍보 한건의 보도자료가 들어왔다. 메일을 받아보고 제일 먼저 든 생각은 ‘이제와서?’였다.

이날은 경기도에서 AI가 최초로 발생한지 50여 일, 포천에서 폐사한 고양이가 AI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돼 인체감염 여부에 대한 우려가 나온 지 일주일이 지나고 나서였다.

‘AI 예방수칙을 하나의 지방정부에서 마련하기는 무리가 있어 늦은걸까’하는 의문에 취재해 본 결과, 중앙정부에서 전달받고도 홍보가 되지 않다가 일주일이 지나 배포된 ‘묵혀진’ 예방수칙인 것이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4일 AI 예방수칙을 전국 광역 지방정부를 통해 각 기초 지방정부에 전달했고, 시민들에게 홍보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일주일이 지난 10일까지 AI가 발생한 경기도내 11개 시군 중 보도자료, 홈페이지, SNS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예방수칙을 알린 지방정부도 있었지만, 일절 홍보가 안된 지방정부가 대부분이었다. 이유는 대부분 ‘행정력이 부족해서’였다. A시 관계자는 “살처분이 이어져 행정력이 부족했다”라고 말했고, B시 관계자는 “경황이 없어 보도자료를 늦게 배포했다”고 밝혔다.

기사가 나간 이후 예방수칙을 알리지 않았다고 지적된 한 지방정부 관계자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보도자료나 SNS를 통해 시민들에게 알리지는 못했지만, 지역 교육청과 학교에 공문을 보내 알리도록 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일종의 항변의 전화였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AI 예방을 위한 수칙인데 방학 중인 학교와 교육청에 전달하는 게 적합했는지, 학교와 교육청에 전달하면서 언론에 한통의 메일을 주는 것은 어려웠는지 의문이 들었다.

AI와 같은 전염병은 사태가 커지면 걷잡을 수 없을때 까지 문제가 커진다. 단순한 예방수칙이 홍보되지 못한게 아니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시민들간의 시스템의 고리가 끊어진 심각한 문제다.

조윤성 경기북부 정치부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