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이 28일 미래전략실 해체를 중심으로 한 경영쇄신안을 내놨지만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삼성으로서는 뚜렷한 후속 대책이 없는 상태에서 그룹 컨트롤타워 조직 우선 해체를 선언하는 '모험'을 택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까지 불러온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계기로 정경유착의 고리를 과감히 끊고 거듭나겠다는 취지다.

삼성의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는 작년 한 해 매출 200조원, 영업이익은 30조원이르는 등 규모 면에서는 국내 기업 중 독보적이다.

소비자들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스마트폰, TV 등 제품에 대해서는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라고 치켜세운다.

삼성 스스로도 국내외 이미지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왔고, 각종 사회공헌 활동에도 많은 금액과 인력을 투자해왔다.

삼성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기대치도 높지만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혹은 '존경받는 기업'으로는 순위에 오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을 둘러싼 분노가 삼성으로 번졌고 매주 열리는 박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에 이 부회장의 구속을 촉구하는 구호가 등장했다.

그룹 총수의 부재로 '경영공백'이 올 수 있다는 삼성과 재계의 우려는 '협박'처럼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실제로 삼성은 1938년 삼성상회로 출발한 이후 79년간 정경유착, 비자금 조성, 부당한 경영권 승계 등과 관련한 '흑역사'를 갖고 있다.

창업주인 이병철 선대 회장이 연루된 1966년 '사카린 밀수' 사건은 당시에도 떠들썩했고 아직도 많은 이들의 뇌리에 남아있다.

2005년 정치권과 검찰에 금품 제공을 논의한 'X파일' 사건, 2007년 김용철 변호사가 폭로한 비자금 의혹 등의 과오도 있다.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건에 대해 삼성은 시너지 창출을 위한 경영상판단이라고 설명하지만, 특검 조사에 따르면 경영권 승계를 위한 정지 작업에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삼성에 대한 싸늘한 시선을 삼성 역시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

반기업 정서가 확산하자 삼성 계열사 사장은 지난달 "기업이 없으면 근로자도 없다"는 말로 우회적으로 반박하기도 했다. "기업 할 재미가 없다"고도 했다.

화려한 공언 뒤 남은 과제는 실천이다. 삼성이 최근 위기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혁신을 약속한 만큼 어디까지 현실화할지 지켜볼 일이다.

외부에서는 삼성의 '이사회 순혈주의'를 버리는 게 신뢰 회복의 관건이라고 강조한다.

경제개혁연대는 이날 발표한 논평에서 "지배주주와 내부 경영진이 선임한 '거수기' 사외이사로만 채워져서는 각 계열사 이사회의 자율적인 판단을 신뢰할 수 없다"며 "컨트롤타워 기능이 분산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삼성전자·물산·생명 등 핵심계열사에는 외부 주주가 추천한 독립적 사외이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