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환경연구원, 사람 생활·호흡 높이 지침… 경기도내 89곳 중 부합 13곳에 불과
경기도 "도심 용지 구하기 힘들어"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3일 연속 발령된 15일 오후 수원시청 옥상에서 수원시 기후대기과 직원이 대기오염 측정기를 살펴보고 있다. 김영운기자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3일 연속 발령된 15일 오후 수원시청 옥상에서 수원시 기후대기과 직원이 대기오염 측정기를 살펴보고 있다. 김영운기자

초미세먼지 농도가 연일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경기도의회의 지속적인 지적에도 불구하고 초미세먼지 등을 측정하는 대기오염측정소를 대부분 공공건물 옥상에 운영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연구원은 정확한 측정과 정보제공을 위해 사람이 공기를 흡입하는 위치와 비슷한 높이에서 측정할 것을 우선 권장하고 있지만, 도는 예외 사항도 있고 현실적으로 도심지역에 측정소를 설치하는게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15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이 현재(1월 기준) 도내 31개 시·군에서 운영중인 대기오염측정소는 도로변측정망 7곳을 포함 모두 89곳이며, 5곳은 현재 설치중이다.

국립환경연구원은 측정소의 위치를 ‘시료채취구의 높이는 사람이 생활하고 호흡하는 높이인 지상 1.5m이상, 10m이하 범위’로 선정하도록 운영지침에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89곳의 측정소 중 도시대기질측정소만을 놓고 봤을 때 국립환경연구원의 운영지침에 부합하는 곳은 13곳에 불과했다.

실제, 수원 인계동에 위치한 측정소는 수원시청 옥상(23.5m)에 설치돼 있으며, 고양 신원도서관(16.3m)을 비롯해 광명 소하도서관(19m), 양평 용문도서관(11m), 과천 환경사업소(15.5m) 등 도내 대부분의 측정소가 옥상에 위치해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제 사람이 숨을 쉬며 생활하는 위치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와 건물 옥상에서 측정한 농도의 차이가 발생,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초미세먼지는 머리카락 직경의 20분의 1보다 더 작은 미세먼지 입자로 호흡하면 코나 기관지에 걸러지지 않고 폐포 깊숙이 도달해 인체에 호흡기질환, 기관지염, 암 발병, 어린이들의 폐 성장 약화, 천식 증상 약화, 신생아들의 저체중증, 심장질환과 심장마비 등의 가능성을 높이는 오염물질이다.

도의회 진용복 도의원(민주당·용인3)은 “최근에는 ‘삼한사온’이 아니라 ‘삼한사미’라고 3일은 춥고 4일은 미세먼지라는 우스갯 소리도 나오고 있다”며 “매년 행감때마다 지적되고 있고, 시기와 장소 구분없이 미세먼지의 위험에 노출돼 있는데 실질적인 측정을 위해 지상과 가까운 곳의 측정소 설치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도연구원 관계자는 “먼저 측정소의 위치는 각 시군에서 제공하고, 이후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쳐 최종 결정된다”며 “국립환경연구원의 운영지침에는 상황에 따라 최대 30m의 높이에서의 측정도 인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럼에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측정 위치를 20m이하의 범위로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사실상 도심지역에서 일반적인 컨테이너 크기의 측정소를 설치하기 위한 용지를 구하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거 환경부가 맡아 운영하던 대기오염측정소는 1999년 ‘대기환경보전법’이 개정되면서 각 시·도에 위임됐으며, 도연구원은 기준에 따라 초미세먼지 경보를 문자메시지를 통해 도민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김현우기자/kplock@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