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구잡이 이용에 시설관리 힘들자 신청 철회하는 건물주 점차 늘어
인천시 "區가 책임… 별도지원 無"

시민 편의를 위해 지정된 인천지역 개방화장실이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개방화장실은 민간 건물 주인이 자발적으로 외부인들에게 개방한 곳이지만, 지자체의 지원이 부족한데다 일부 이용객의 몰지각한 이용에 건물주들이 감당하지 못하는 수준에 이른 것이다.

인천 서구 강남시장 인근의 한 개방화장실은 굳게 문이 닫혀있다.

본래 24시간 개방하는 곳이었지만, 늦은 밤 화장실을 함부로 사용하는 이용객이 늘면서 10시 이후로 문을 잠그게 됐다.

부평구 상가촌에 자리한 개방화장실 문에도 자물쇠가 잠겨있기는 마찬가지다.

건물 관계자는 “일부 취객이 변기에 토하거나 휴지를 가져가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시설 관리가 점점 힘들어지면서 가끔씩 문을 잠글 때가 있다”고 설명했다.

군·구에서 개방화장실 점검을 나오고는 있지만 현장을 모두 확인하기는 역부족이다.

점검 자체가 연평균 4회 정도에 그치는데다 사유물이라는 개방화장실 특성상 문을 잠그지 못하도록 강제하기가 어려운 탓이다.

한 구 관계자는 “개방화장실은 건물주와 지자체가 협의해 사유물을 대중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보니 관리 방식에 대해 지자체가 강제할 권한이 없다”며 “관리 방식을 강제하다 자칫 개방화장실 신청을 철회하는 등 더 줄어들 가능성도 있어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여기에 개방 화장실 관리에 필요한 인력과 물품이 지원 규모를 넘어서면서 개방화장실 운영 업주들에 대한 보상이 지나치게 적다는 불만도 나온다.

현재 인천지역 군·구에서는 개방화장실마다 연간 50만 원에서 최대 200만 원까지 위생물품을 제공하고 있다.

한 개방화장실 관리자는 “구에서 화장지 등을 제공하곤 있지만 매번 필요한 물품을 추가로 더 구입해 운영하고 있다”며 “시설을 함부로 다루는 이용객 탓에 변기가 고장나기라도 하면 수리비도 감당해야 하다보니 관리비가 더 나온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느낀 건물주가 개방화장실 신청을 철회하면서 지난해 한 지자체에서는 개방화장실 2곳이 취소되기도 했다.

개방화장실이 문을 닫고 이용이 어려워지면서 피해는 고스란히 이용객에게 돌아가고 있다.

택시 운전기사 최모(59)씨는 “이전에 자주 가던 개방화장실이 사라지면서 개방화장실을 찾느라 애를 먹었다”며 “특히 늦은 시간에는 문을 닫는 개방화장실이 많다보니 문 열린 곳을 찾기가 더 어려운 상황”이라며 답답해했다.

이런 가운데 시에서는 개방화장실 관리가 전적으로 구의 책임이라며 별도의 지원에 나서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개방화장실 지정부터 감독은 전부 군·구에서 도맡기 때문에 시에서는 자세한 상황을 알지 못한다”며 “군·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 정도”라고 말했다.

조윤진기자/koala0624@joongboo.com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