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자체 TF 구성 등 유치 노력… 경기도, 정부와 방향 달라 지지부진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청 전경

 

정부의 ‘광주형 일자리’ 정책 확산 기조에 따라 노사민정 합의가 기반인 일자리 찾기에 나선 전국 곳곳의 광역단체와 달리 경기도만 외딴길을 걷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인천, 충북, 전남, 부산 등 여러 광역단체가 일부는 태스크포스(TF)까지 꾸려 추진에 나섰는데 경기도는 아직까지 이렇다 할 행동없이 머뭇거리기만 하고 있어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회의를 열어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확산방안’을 이달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31일 노사민정 대타협을 이뤄낸 ‘광주형 일자리’의 정책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후속 조치다.

이날 협약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어느 지역이든 지역 노사민정 합의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받아들인다면 그 성공을 위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에 전국 곳곳의 광역·기초단체들이 광주형 일자리를 모델로 한 일자리 발굴 작업에 나섰다.

인천시는 정부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이 정책에 관심을 갖고, 지역 특색에 맞는 일자리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지난 11일 “충북TP, 충북연구원, 상공회의소, 기업단체장 등 주요 기관과 도·시군 관계자가 참여해 우리의 (일자리 사업)아이템을 찾아야 한다”면서 전담 TF팀 구성을 지시하기도 했다.

전남도 역시 담당 팀을 지정해 정부 정책에 맞춘 일자리 사업 모색에 나섰으며, 부산시와 거제시도 이를 위한 사업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경기도는 아직까지 광주형 일자리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아무런 행동에도 나서지 못하고 있다.

정부 정책에 맞춘 일자리 사업에 나설 지를 이달까지 결정한다는 방침이지만, 이마저도 내부 검토 수준에 그치고 있다.

게다가 도는 공공·공익적 민간 일자리 창출이 정책 기조다 보니 정부와 정책 방향이 달라 노사상생 관련 일자리 사업은 진행되고 있는 바가 없다.

오히려 지역별 산업 종류가 다양하다는 특성과 노사 합의가 어렵다는 이유 등로 광주형 일자리에 맞춘 사업 추진이 어려울 수 있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광주형 일자리 발굴 가능 여부를 여러 실국 부서와 논의 중이지만 여건상 어려움점이 많은 게 사실”이라며 “이달 중 최종 여부를 결정짓는 걸 목표로 하고 있지만 어떤 것도 단정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joon@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