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패럴림픽이 우리나라에서 열리면 뭐해요. 달라진 게 없는데…”

지난달 전국장애인동계체전를 앞두고 지역의 한 장애인체육 관계자가 한 말이다. 평창 동계패럴림픽이 끝난 지 1년이 지났지만 국내 장애인체육 여건은 제자리걸음이라는 얘기였다. 그는 “장애인체전에 시범경기가 많은 이유는 선수가 부족하기 때문인데, 점점 참가자가 줄어드는 종목도 있어 걱정”이라고 했다.

장애인체육은 홀대를 받았다. 관련 예산부터 그랬다. 중앙·지방정부 할 것 없이 오랫동안 생색내기 수준에 불과한 장애인체육 예산을 편성해왔다. 경기도와 도 내 시군을 살펴봐도 전체 체육 예산에서 장애인체육이 차지하는 비율은, 장애인 수를 고려하면 여전히 적다. 운동을 배우고 싶어도 가르쳐 줄 사람이 부족하고, 마땅한 체육 시설도 찾기 쉽지 않다. 소속팀이 없는 선수들은 생계를 꾸리는 게 지상 과제다. 스포츠 선진국을 자부하는 한국의 장애인체육 현주소다.

장애인들이 많은 걸 바라진 않는다. 선수들은 훈련을 뒷받침 할 팀이 간절하고, 생활체육인들은 운동할 공간과 강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장애인체전을 취재할 때 선수와 동호인들이 가장 많이 한 말 또한 “운동을 마음껏 하고 싶다”는 거였다. 운동을 시작하고 새 삶을 살게 된 장애인 선수들 이야기는 언론에도 많이 소개됐다. 장애인에게 스포츠는 체육활동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정부는 저변 확대를 위해 전용 체육관을 짓고 체육교실과 지도자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장애인체육 관계자들은 “정부 의지 못지않게 지자체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피부에 와 닿는 변화가 이뤄진다는 이유에서다. 이를테면 기존 체육시설의 ‘문턱’을 낮추는 건 지자체 힘으로 가능한 일이다. 한국 체육의 중심임을 내세우는 경기도가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 패럴림픽 전과 후는 달라야 한다.

장환순 문화체육부 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