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사 "시설·설비 해당 불구 환경위생 이유 떠맡겨" 불만토로
행정실 "업무 대부분 이미 처리중… 관리 기본계획은 세워줘야" 주장

 최근 미세먼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공기정화장치(공기청정기 및 공기순환기) 설치가 계속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학교 구성원 간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공기정화장치 관리 업무를 누가 담당할 것인가를 두고 업무갈등이 일고 있는 것인데, 이 때문에 현장에서는 공기정화장치 수를 대폭 확대하기 전 교육청의 명확한 업무 조정 등의 요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19일 일선 학교들에 따르면 최근 미세먼지 대책 마련을 위해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한 학교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도내 유치원과 초·중·고교 및 특수학교 등 전체 6만7천285개 교실 중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된 곳은 3만5945개 교실(52.3%)이다. 학교 급별로는 초등학교가 69.1%, 중학교 7.8%, 고등학교 18.8% 등이다.

 도교육청은 여기에 예산을 들여 올해 모든 초등학교 교실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고, 내년 중·고교까지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다.

 그러나 이처럼 교실마다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 수가 만만치 않다 보니, 보건교사와 행정실 간 누가 이를 관리할 것인지를 두고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

 우선, 보건교사들은 공기정화장치는 학교 시설·설비에 해당하기 때문에 행정실에서 관리해야 하지만, 환경위생업무를 보건교사가 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해당 업무가 떠맡겨 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군포의 한 초등학교 보건교사 A(50)씨는 "학기 초에 업무조정에 대해 건의했지만 공기 질 알림, 미세먼지 민감군 학생 관리 등을 맡고 있다는 이유로 공기정화장치 사후관리까지 하게 됐다"며 "설치 등은 행정실에서 진행하고 있는데 필터 등 소모품 관리하는 것은 보건교사의 업무가 맞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를 담당하기에는 학교 행정실 사정도 여의치 않다 보니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안양에서 근무 중인 행정실장 B(49)씨는 "학교보건법에 학교위생관리는 보건교사 업무로 규정돼있지만, 공기청정기 계약 및 사후관리, 공기 질 알림 등 업무 대부분 이미 행정실에서 하는 실정"이라며 "그런데 이 상황에서조차 업무가 부담스럽다고 하는 것은 관리 기본 계획조차 세우지 않겠다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현장에서는 학교 구성원 간 갈등 해소를 위해 담당 업무를 정해주거나 교육지원청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방안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다른 보건교사 C(50대)씨는 "업무분장에 명확한 기준이 없다 보니 지역, 학교 간 편차가 심하다. 이렇게 되면 서로 학교에서 얼굴만 붉히게 되는 상황"이라며 "어차피 교육지원청에서도 공기정화장치 설치현황 등 모든 것을 알고 있는 만큼 때가 되면 필터 관리 등을 지원해주는 대안 마련이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업무는 학교에서 상황, 업무 특성을 고려해 학교장이 분장하는 것인지 교육청에서 일률적으로 정해줄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면서 "학교마다 여건이 달라 구성원 간 협의를 거쳐 풀어야 하는 문제"라고 말했다.

변근아기자/gaga99@joongboo.com

교실에 설치된 공기정화장치.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교실에 설치된 공기정화장치.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