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온과 안티고네라고 하는 신화의 주인공들의 사례를 보면서 오늘 우리 지도자의 리더십을 한번 살펴보면 어떨까 한다. 크레온은 오이디푸스 왕의 처남이요 안티고네는 오이디푸스 왕의 딸이다.

크레온은 대단한 원칙주의자이면서도 편견과 고지식하기로 유명한 지도자인데 반해 안티고네는 여성답게 인정 많고 효성이 지극한 여인이다. 오이디푸스가 자신의 정체를 알아차린 순간 수치심과 자괴감으로 스스로 자신의 눈을 찔러 장님이 되고 나서 왕위를 버리고 테베왕국을 떠나 유랑의 길에 나선다. 효심이 강한 안티고네는 눈먼 아버지의 손을 붙잡고 함께 유랑생활을 하면서 지극정성으로 보살핀다. 그러나 얼마 안가 아버지가 돌아가자 안티고네는 고향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고향은 그가 그리던 고향이 아니었다. 오빠 둘이 왕권을 놓고 사생결단의 치열한 전투를 벌리고 있는 중이었다. 두 형제가 1년마다 번갈아가면서 왕권을 수행하기로 한 약속을 해 놓고 형이 이 약속을 어기자 동생은 외국으로 도망을 갔다가 군대를 끌고 와 형에 도전한 것이다. 오랜동안 싸웠으나 승부가 나지 않았다. 할 수 없이 두 형제가 1대(對) 1로 맞붙어 결판내기로 했다. 결과는 형제 모두가 죽는 길밖에 없었다.

왕이 없어진 테베에서는 할 수 없이 잠시나마 전날의 왕이었던 크레온이 다시 왕위에 올라 사태를 수습하게 된다. 크레온은 왕위에 있었던 형의 시체는 정중하게 매장하도록 지시하였다. 그러나 외국으로 도망을 가 군사를 이끌고 침략해 온 동생의 시체에 대해서는 매장금지 명령과 함께 이를 위반한 자에 대해서는 사형을 처한다는 포고령을 발표하였다.

인정 많은 안티고네로서는 들판에 버려져 있는 둘째 오빠의 시체를 두고 볼 수가 없었다. 아무도 모르게 혼자서 시체를 매장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러나 불행히도 매장 순간에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크레온의 아들이면서 안티고네의 약혼자인 하이몬이 달려와 아버지인 왕 크레온에게 그녀를 용서해 주기를 하소연한다. 그러나 고지식하기로 소문난 크레온은 국법을 고의로 어겼다는 이유로 안티고네를 생매장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잠시 후 신의 뜻을 전하는 예언자가 나타나 안티고네의 뜻대로 해주지 않으면 하이몬이 죽을 것이라고 예언을 한다. 그때에서야 할 수 없이 크레온은 안티고네를 풀어 주도록 지시하였다. 그러나 이미 때는 늦었다. 안티고네도 하이몬도 스스로 목숨을 끊은 뒤였던 것이다.

이 작품은 논자에 따라 다각적이고도 다층적으로 해석되어온 고전이다. 안티고네의 인간적 행위에 대한 동정이냐 아니면 국법의 권위에 대한 준수이냐에 대한 양자택일에 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크레온은 갈등 속에서 외쳤다. "만일 내가 내 집안의 반역자를 용서 한다면 어찌 백성을 다스릴 수 있단 말인가?"

그러자 그의 아들 하이몬 또한 약혼녀에 대한 사랑과 부왕에 대한 존경심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이렇게 호소한다. "아버지 노여움을 거두시고 아버지의 생각만이 옳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인간은 완벽한 지혜를 갖는 것이 최선이지만 그런 일은 드뭅니다."

그러나 크레온은 들은 척도 하지 않고 안티고네의 처형만을 고집하였다. 이에 안티고네 역시 신법(神法)과 인간의 법사이에서의 심리적 갈등 속에서 이렇게 항변한다. "저는 당신과 같은 인간이 만든 법이 신이 만든 불가변의 불문율(UNWRITTEN LAW)을 능가 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불가피한 양자택일의 기로에서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딜레마에 빠지는 것은 지도자의 숙명이다. 그러나 숙명적으로 주어진 딜레마를 어떤 방식으로 풀어가는 것이 현명한 길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곧 리더십이다. 어떤 이는 크레온을 독재자로 비난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국가론적 견지에서 보면 크레온의 경우는 온전히 정당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그러한 선택을 사람들은 정당하냐 정당하지 하지 않느냐로 판단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히려 사람들은 보통사람들이 갖는 동정심과 상식으로 납득할 수 있는 여유로움에 더 많은 점수를 주고 있다는 사실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본다면 지도자의 덕목 중에서 ‘원칙의 고수(固守)’는 어쩌면 소아병적 하수(下手)일 때도 없지 않다. 어쩌다 국정농단으로 탄핵된 여성 대통령이 수년간 영어의 몸으로 있는 것을 동정하는 사람도 있기에 하는 소리다.

김중위 前 환경부장관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