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직중 21%… 정규직은 31% 불과
80% '고용보험 가입조차 안돼"… 정보·기회 부족 경제활동 못해

#광명시에 사는 중증시각장애인 민모(69·남)씨는 당뇨 등의 합병증으로 5년 전 실명 판정을 받았다. 그는 시력을 잃어 직장을 다닐 수 없게 되자, 부인과 함께 자영업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재직 당시 들어놓은 고용보험과 사업소득 등을 모두 합친 한 달 생계비는 200만 원 남짓해 아내와 둘이 생활하기에 버겁다고 그는 토로했다. 경제적 여유가 없는 민씨는 문화·여가생활은 꿈도 못 꾼다고 말했다.

민씨처럼 생계비 문제로 생활고를 겪는 시각장애인들이 경기도에만 수만 명에 달한다. 이들 중 대부분은 일을 하고 싶어도 정보가 없거나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 일을 못 하고 있다.

경기도시각장애인복지관이 실시한 ‘2019 경기도시각장애인 욕구실태조사’에 따르면 시각장애인 재직현황이 ‘일하고 있음’ 183명(21%), ‘일하지 않음’ 687명(79%)으로 나타났다. 일하고 있는 시각장애인 중에서는 근무연수가 10년 미만인 응답자는 절반 이상인 62%이고, 정규직은 31%에 불과했다.

이같은 문제는 고용보험 가입현황에서도 확연히 드러났다.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은 시각장애인이 80%를 차지해, 대부분의 시각장애인들이 경제활동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각장애인들은 일을 하고 싶어도 정보가 없어 구직활동을 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지자체가 구직활동 경로를 안내해주지 않거나 상세히 설명해주지 않는다는 목소리다.

10년째 공공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시각장애인 이승준(46·남)씨는 "주위의 많은 시각장애인들이 취업을 통해 자립하고 싶어도 어떻게 구직활동을 해야 하는지 몰라 지레 겁을 먹고 포기하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시각장애인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안마업계도 지자체가 주선해주지 않아 혼자 알아보는 사례가 많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각장애인들은 정부지원금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등 생활고를 호소하고 있다. 시각장애인 2명 중 1명(57%)이 월평균 100만 원 미만의 가구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다. 올해 경기도 생활임금인 209만 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도 관계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채용복지서비스는 없지만,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 채용박람회를 연 2회 열어 일자리 알선을 하고 있다"며 "이밖에도 시군 매칭사업으로 장애인단체 활동비를 보조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 시각장애인은 지난해 말 기준 5만2천988명으로 시군별로는 수원시가 4천397명으로 가장 많고 고양시(3천974명)가 뒤를 이었다.


명종원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