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강으로 치닫던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에 변화 기류가 생기고 있다.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의료계와 협의를 제안하고, 민주당도 의대 정원 확대 등에 대해 원점 재검토 방침을 시사하고 있다. 팽팽한 긴장이 유지되던 정부와 의료계의 대치 상황에 변화가 생긴 것은 정부가 강행 의사를 보였던 의사 국시를 일주일 연기하면서부터다. 정부가 의료계 원로들과 만나 사태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의료계 원로들의 요구를 참고하여 시험 연기를 결정한 것이 돌파구가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의사 국시가 일주일 연기되고 정부도 적극적으로 의료계의 요구 사항을 수용할 자세를 피력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와 의료계의 대화 분위기가 다시 조성되면서 지난 21일부터 계속되고 있는 의료계 파업이 중대 국면을 맞을 것이 예상되며 이번 대화를 통해 반드시 파업을 풀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의료계 원로들의 말을 참고하였듯이 의료계도 마냥 강경하게만 맞설 것이 아니라 원로들의 조언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부와 의료계가 다시 만나게 되면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정책을 원점에서 재논의하자는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보이며 정부는 의료 현장 복귀를 설득하고 정책에 대해 직접 설명할 예정이다.

정부의 정책 제안 배경에는 의료 인력·의료 서비스의 지역 편차 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 담겨 있다. 이미 누차 언급했듯이 그 과정에서 정작 당사자인 의료계와 충분한 논의와 협의가 없었다는 점이 이번 분란의 원인이다. 정책에 대한 세부 설명 부족도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어쨌든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이번 정책 제안은 보류되어야 하고, 의료계가 파업을 끝내고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충분하고도 진정성 있는 대화를 통해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의료계 파업이 길어지면 결국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상황의 엄중함에 대통령도, 정부도, 여당도 의료계 설득에 나섰다. 그래서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된 후 관련 문제들을 정부와 국회의 협의기구 등을 통해 의료계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의료계 파업 철회 시 정책 추진도 함께 중단할 수 있고 향후 의료계와 모든 가능성을 열고 논의하겠다고 한 만큼 파업을 풀 명분은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외에도 다양한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생각한다면 의료계는 대승적 차원에서 파업을 풀고 의료 현장으로 돌아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