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 자료사진
인천시청 자료사진

인천 미추홀구 주안동에 사는 중증 뇌병변 장애인 김솔(36)씨에게 버스 승차는 복권과도 같다.

버스정류장에서 버스 문이 열릴 때 비장애인들은 두 다리로 계단을 올라가지만 그의 전동 휠체어는 오를 수가 없다. 휠체어 탑승을 위해 후문에 경사판이 설치된 저상버스를 기다리지만 차량 대수가 적어 대기시간만 30~40분 이상 소요된다. 기다림 끝에 저상버스가 도착하지만 버스기사는 김씨를 쳐다보더니 "죄송합니다. 경사판이 고장 났습니다"라고 말한 뒤 출발한다. 김씨는 다시 하염없이 자신을 태워 줄수 있는 버스를 기다려야 한다.

20일 인천시는 제42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현장 소통을 강조했지만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도입률은 전국 8개 특·광역시 중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상버스는 말 ‘바닥이 낮은’ 버스로 계단이 없어 어린이, 노인 등 교통약자들이 이용하기 수월한 버스다. 특히 저상버스에는 휠체어가 오를 수 있도록 후문에 경사판이 설치돼있고 내부에도 공간이 따로 마련돼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발표한 ‘2020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연구’에 따르면 8개 특·광역시 중 인천의 저상버스 보급률은 22.7%로 7위를 기록했다.

보급률이 가장 좋은 곳은 서울(57.8%)이며 대구(34.9%), 대전(31.3%), 세종(27.9%), 부산(27.3%), 광주(25%), 울산(12.3%) 순이다. 인천은 특·광역시 평균 40%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씨는 "저상버스를 기다리는 시간도 너무 길고 특히 출퇴근 시간대는 저상버스에도 사람들이 꽉 차 있어 타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저상버스 외에 장애인들의 주요 이동 수단인 장애인콜택시도 전국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탑승 설비를 갖춘 특별교통수단 보급률도 특·광역시 평균 72.2%지만 인천은 57.3%이다.

이처럼 교통 약자를 위한 시설 도입률이 낮다는 비판에 대해 인천시는 도시의 특성을 강조했다.

인천과 경기도는 광역버스 노선이 많고 이 버스들 대부분이 좌석버스로 운영돼 통계율이 낮게 잡힌다고 설명했다. 또한 저상버스는 버스정류장과 버스가 가까이 붙어야 하는데 버스전용차선이 있는 서울과 달리 인천의 교통상황은 그렇지 않다고 덧붙였다.

국회는 지난해 ‘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법’을 개정하며 지자체의 저상버스 도입을 기존 선택에서 의무로 변경해 내년부터는 저상버스 도로 요건 불가 지역 및 기타 애로사항으로 승인받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부 저상버스로 교체해야 한다.

인천시는 지난해 73대의 저상버스를 도입했으며 올해도 국토부에 추가적으로 100대를 요청 할 계획이다.

인천장애인철폐연대 관계자는 "장애인들 중에 버스 타는 것을 포기한 분들이 많다"며 "하루빨리 저상버스가 보편화돼 장애인들의 이동권 문제가 해소됐음 한다"고 말했다.

김웅기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